[혼코노미 제2부] 집콕? No. 집쿡! Yes
– 1인 가구 증가와 밀키트 시장 빠르게 성장
– 모바일 세탁소까지… 집 밖 나가지 않고도 OK
[프롤로그] “집에서 다 돼” 지금은 혼코노미 시대
제1부. 1인 가구 스낵컬처, 웹툰과 웹소설
제2부. 집콕? No. 집쿡! Yes
제3부. 월간 과자와 렌탈 헬스기구
글. 김관식 기자 seoulpol@wirelink.co.kr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집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는 트렌드가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소비환경도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데, 식품분야가 가장 두드러집니다.
가정간편식, 즉 반조리 식품 상태로 짧은 시간 안에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대체 식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것이죠.
무엇보다 고객이 집에서 쉽게, 짧은 시간 내 조리해 먹을 수 있도록 식재료 구입부터 섭취, 마무리까지 최대한 손이 가는 과정을 줄였습니다. 반조리 식품을 그릇에 넣고 끓이면 되는 방식이지만, 어느 정도 조리가 된 상태(반조리)로 충분히 가공돼 진공포장되어 배달하기 때문에 간단한 조리과정만 거칩니다.
밀키트, 1인 가구 식탁을 점령하다
특히 밀키트(Meal Kit)는 손질을 마친 식재료와 양념을 함께 넣고 조리 순서대로 조리하기 때문에 일일이 장을 보러 가지 않아도 되고, 경제적이며 재료가 남을 걱정도 없으며 요리하는 즐거움까지 있습니다. 내 집에서 유명 맛집의 음식을 맛볼 수 있어요. 집에서 요리해 먹으면 실제 그 맛집의 맛이 나지 않아 심란했던 이들의 고민을 해결한 셈입니다.
국내 광고마케팅 기업 차이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이제 가정간편식은 하나의 식사 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인스턴트 취급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것이죠. 간식 수준의 식생활 문화에서 주식 개념으로 점차 식문화가 변화하고 있으며, 고객 입맛도 갈수록 까다로워지고 있으니까요.
국내 밀키트 시장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띠고 있습니다. 2019년 1,700억원 대 산업군이었다면 2024년에는 약 8,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습니다.
모바일 세탁소 등장
최근에는 모바일 세탁소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일상적인 빨래감부터 드라이클리닝, 의류수선, 운동화 빨래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법도 간단합니다. 모바일 앱을 내려 받아 서비스 신청 후 희망하는 날에 세탁물을 현관문 앞에 내다 놓으면 끝입니다. 업체는 세탁물 수거는 물론 처리한 뒤 이를 문 앞까지 배송합니다. 이 역시 비대면으로 진행합니다.
세탁물 모바일 앱 서비스인 ‘런드리고’는 밤 11시 전에 문 앞에 세탁물을 두면 이튿날 저녁 말끔히 세탁된 옷을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합니다. 2019년 3월 론칭 이후 월 평균 3만 5.000 가구의 세탁을 처리합니다.
조성우 의식주컴퍼니 대표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배달음식이나 신선식품 등의 대부분은 모바일로 전환됐지만 단 하나, 세탁산업은 최근까지 변하지 않았다”라고 말한 것처럼 이제는 직접 빨래방이나 세탁소를 찾아가던 불편함에서 벗어나 누구나 집에서 깨끗이 세탁한 의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전국 700여 개의 체인망을 운영 중인 크린에이드는 기존 세탁서비스와 셀프 빨래방, 멀티 빨래방 형태의 운영에서 모바일 세탁 앱 시장으로 진출했습니다. 크린에이드 역시 집 밖으로 나오지 않고 웹이나 앱을 통해 크린에이드를 온라인으로 검색, 접수하면 원하는 세탁서비스를 받을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