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성지님의 아티클 더 보기

뉴스

트위터라는 날개를 단 K콘텐츠

트위터, 전 세계에서 K-POP 관련 트윗 78억 건 발생

-트위터, 국가∙아티스트 순위 등 #KpopTwitter 2021 데이터 발표
-아티스트 순위에 ‘엔하이픈’ 3위로 약진∙’있지’ ‘에스파’는 첫 진입
-K-POP을 넘어 영화∙드라마∙웹툰 등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글로벌 관심 증가
-트위터, 트위터블루룸, 스페이스, 팬트윗 등 #OnlyOnTwitter 콘텐츠 강화

트위터는 2021년 발생한 K-POP 관련 트윗이 78만 건 넘게 발생했다고 26일 전했다.

음악에서 콘텐츠로, 장르의 확장

2020년 발생한 트윗은 67억으로 약 16% 높은 수치다. 그동안 K-POP 뮤직에 국한됐던 글로벌 팬덤의 관심이 2021년에는 영화・드라마・웹툰・스포츠・예능 등 다양한 장르로 확장되며 K콘텐츠 열풍이 불었다.

2021년에는 래퍼 이영지(@dokgodieinsaeng)・배우 이세영(@seyoung0703) 등 다수 셀럽이 트위터로 복귀, 2021년 하반기 최고 화제작 엠넷 ‘스트릿 우먼 파이터’의 주역 모니카(@monikaaashin) ・허니제이(@__honey_j)・노제(@noze_world) 등이 트위터 계정을 새롭게 개설한 것도 K-POP 커뮤니티 및 K콘텐츠의 다각화를 이끌었다.

트위터는 지난해 발생한 78억 건의 K-POP 관련 트윗을 분석해 ▲K-POP 관련 트윗을 가장 많이 한 국가 ▲K-POP 팬이 가장 많은 국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K-POP 아티스트 ▲라이징 K-POP 아티스트 등 다양한 수치를 공개했다.

2021 K-POP 관련 트윗을 가장 많이 한 국가 TOP 20

K-POP 홀릭, 인도네시아

2021년 한 해 동안 K-POP 관련 트윗이 가장 많이 발생한 국가(트윗량 기준) 1위는 2년 연속 인도네시아가 차지했다. 뒤를 이어 필리핀・한국・태국・미국・멕시코・말레이시아・브라질・인도・일본 등이 TOP 10에 이름을 올렸다.

2021 K-POP 팬이 가장 많은 국가 TOP20

K-POP 관련 트윗을 게재하는 이용자(Unique Authors)가 가장 많은 국가는 인도네시아・일본・필리핀・한국・미국・태국・브라질・멕시코 순이다. 이외에도 터키・아르헨티나・ 페루・콜롬비아・칠레・캐나다・프랑스・에콰도르 등이 TOP 20으로 집계됐다.

2021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K-POP 아티스트 TOP20

BTS being BTS, 화제의 중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K-POP 아티스트 1위는 21세기 팝 아이콘 ‘방탄소년단(@BTS_twt)’이 차지했다. 지난해 LA에서 열린 대면 콘서트 ‘BTS PERMISSION TO DANCE ON STAGE – LA’ 콘서트 기간 전 세계에서 6천 8백만 건이 넘는 트윗이 쏟아지며 방탄소년단의 전 세계적인 인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뒤를 이어 ‘NCT(@NCTsmtown)’가 2년 연속 2위에 올랐다.

이 밖에도 엑소(@weareoneEXO), 블랙핑크(@BLACKPINK), 투모로우 바이 투게더(@TXT_members), 트레저(@treasuremembers), 세븐틴(@pledis_17), 에이티즈(@ATEEZofficial), 트와이스(@JYPETWICE), 갓세븐(@GOT7Official), 더보이즈(@WE_THE_BOYZ), 아이콘(@YG_iKONIC), 아스트로(@offclASTRO), 몬스타엑스(@OfficialMonstaX), 레드벨벳(@RVsmtown), 샤이니(@SHINee) 등이 TOP20으로 선정됐다.

2021 라이징 K-POP 아티스트 TOP10

밀리언 셀러에 등극한 슈퍼루키, 엔하이픈

지난해에는 특히 4세대 K-POP 아티스트의 약진이 돋보였다. 2020년 ‘라이징 K-POP 아티스트’ 5위에 올랐던 엔하이픈(@ENHYPEN_members)은 지난해 데뷔 1년만에 밀리언 셀러를 달성,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인 ‘빌보드 200’에서 11위를 기록하는 등 전 세계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2021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K-POP 아티스트’ 3위에 올랐다.

이외에도 지난해 ‘라이징 K-POP 아티스트’ 부문에 선정됐던 스트레이 키즈(@Stray_Kids)와 ITZY(@ITZYofficial)가 각각 ‘2021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K-POP 아티스트’ 10위와 16위에 올랐으며, K-POP 아티스트 최초로 미국 토크쇼 ‘더 닉 캐넌 쇼(The Nick Cannon Show)’에 출연했던 에스파(@aespa_official)도 14위에 이름을 올렸다.

2021년 가장 활약한 신인 K-POP 아티스트를 소개하는 ‘라이징 K-POP 아티스트’ 1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K-POP 아티스트’ 3위에 오른 ‘엔하이픈’였다. 이어 투모로우 바이 투게더・트레져・에스파・ITZY 등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K-POP 아티스트’ 순위권에 오른 아티스트들이 ‘라이징 K-POP 아티스트’ 상위권에 포진했다. 이외에도 아이브(@IVE_twt) ・크래비티(@CRAVITY_twt)・위아이(@WEi__Member)・원어스(@official_ONEUS)・CIX(@CIX_twt) 등 다양한 아티스트가 라이징 K-POP 아티스트 TOP10에 이름을 올렸다. 2021년 12월 31일 기준 지난 3년 내에 데뷔한 그룹의 트윗량을 분석한 결과다.

트위터 글로벌 K팝 & K콘텐츠 파트너십 총괄 김연정 상무는 “2021년에는 방탄소년단과 엔시티가 대화량을 주도하는 가운데, 엔하이픈・에스파・있지 등 신인 아티스트 관련 대화량의 상승세가 돋보였다. 또한 2021년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한국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오히려 증가하면서 콘텐츠 장르 간 상호 영향이 트위터상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난 한해였다”고 말했다. 

언제나 소통이 가능한 트위터

한편, 트위터는 #OnlyOnTwitter(#온리온트위터) 콘텐츠를 강화하며 K-POP을 넘어 K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플랫폼으로 역량을 확대하고 있다. K-POP 아티스트가 글로벌 팬과 소통했던 ‘트위터블루룸 라이브(#TwitterBlueroom Live)’는 2021년 ▲영화 <자산어보> <파이프라인> <킹메이커> ▲드라마 <어느 날> <옷소매 붉은 끝동> <트레이서> ▲뮤지컬 영화 <몬테크리스토> <팬텀> 등으로 영역을 확대하며 글로벌 팬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또 라이브 음성 커뮤니티 기능 ‘스페이스(Twitter Spaces)’를 이용해 K-POP 아티스트와 팬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소통할 수 있게 도왔으며, 트윗을 통해 셀럽이 팬과 소통하는 콘텐츠인 #FanTweets(#팬트윗)과 #BehindTheTweets(#비하인더트윗) 등 다양한 오리지널 콘텐츠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