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관식님의 아티클 더 보기

뉴스

차이커뮤니케이션 AI 플랫폼 ‘차이GPC’, ‘완결형 광고 생성 AI’ 모습 드러내

네이버 클로바 스튜디오와 GPT-4 모델 결합… 광고회사 최초, 완결형 광고 생성 AI’로 시장 공략

CHAI GPC로 생성한 디스플레이 광고 소재(차이커뮤니케이션 제공)

디지털 광고회사 차이커뮤니케이션이 광고회사 최초로 퍼포먼스 광고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AI) 플랫폼 ‘CHAI GPC’로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섰다.

차이커뮤니케이션은 지난 4월 론칭한 AI 플랫폼 ‘CHAI GPC’의 기능 업데이트 및 사용 범위를 확대해 ‘완결형 광고 생성 A.I’로 차별화에 나섰다고 24일 밝혔다.

CHAI GPC(Generative Pre-trained Creator)는 네이버 클로바 스튜디오와 GPT-4 모델을 결합해 수년간 축적된 차이의 광고데이터 기반으로 성과가 우수한 ‘광고소재’를 자동으로 추천하고 제작해주는 인공지능 플랫폼이다.

지금까지 국내 출시된 생성형 AI기반 마케팅 솔루션 대부분이 단순 이미지만 생성해주거나 카피 또는 광고문안만 생성해주는 등 완성된 광고 제작을 위한 통합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다.

반면, CHAI GPC의 경우 광고디자인이 적용된 이미지 생성, 성과가 우수한 광고카피 생성, 다양한 디지털 매체의 제작가이드에 맞춘 리사이징 기능 등 별도의 수정 보완없이 바로 광고에 적용할 수 있는 완성형 광고를 생성한다.

CHAI GPC 광고 생성 화면(차이커뮤니케이션 제공)

또한, 최근 불거지고 있는 AI의 저작권 이슈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오픈 소스를 최대한 배제하고 저작권이 확보된 소스만을 데이터화해 창작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올 3분기 네이버 클로바 스튜디오와 베타 테스트를 통해 플랫폼의 완성도를 더욱 향상시킬 계획이며  이미지 중심으로 제작되고 있는 광고 포맷을 숏폼, 동영상, 버추얼 콘텐츠 영역까지 확대해 ‘통합 광고 생성 A.I’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차이는  AI 플랫폼 개발을 위해 국내 최대 규모 AI 언어모델인 네이버 ‘하이퍼클로바’와 미국 오픈AI사의 ‘GPT-4’ 모델을 연계해 플랫폼 완성도를 끌어올렸다.

‘차이GPC’의 가장 핵심적인 기능은 검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장 효과적인 광고 퍼포먼스와 광고 소재를 제안하고 광고 효과까지 예측한다는 점. 

‘차이GPC’는 광고주의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주요 검색어를 파악하고 AI 모델을 통한 키워드 학습으로 효과적인 검색 광고나 브랜드 검색 문구를 생성한다. 또한 자사 디스플레이 광고 집행 데이터를 학습해 매체와 광고 상품에 최적화된 오브젝트 이미지, 디스플레이 광고를 추천하는 데 최적화된 플랫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