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QR코드는 편해서라고?
중국지불결제 수단으로 본 서비스의 본질
- 글. 박소영 UX전략 컨설턴트
중국의 QR 코드 활용 현황
중국의 지불결제 시장은 QR코드(二维码)로 대표된다. 대표적인 QR코드 결제는 MPM(主扫) 방식과 CPM(被扫) 방식으로 나뉜다.
- MPM(主扫): 가맹점이 QR코드를 생성하고, 소비자가 QR코드를 스캔해 결제하는 방식
- CPM(被扫): 소비자가 QR코드를 생성하고, 가맹점이 QR코드를 스캔해 결제하는 방식
QR코드를 통한 지불결제 서비스의 발전에는 많은 요소가 영향을 주었지만, 특히 의미 있는 시사점은 소액결제 시장에 침투했다는 것이다. 중국에서 QR코드는 적은 현금을 대체하는 수단이 되었다. 즉, 소액이지만 현금으로 소비하는 횟수가 잦은 지출 포인트를 QR결제 방식이 대체한 것이다.
중국 못지않게 우리도 QR코드를 활용한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서울시의 제로 페이나 카카오페이의 QR코드 지원 서비스 등 이제 우리 주변에서도 흔하게 QR코드를 접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단순 결제 서비스로 QR코드를 이용할 때 중국은 QR코드의 진화를 시작했다.
①대중교통 수단까지 QR코드를?
소액 결제의 대표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대중교통에도 QR코드가 활성화되고 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승객들이 사용하는 NFC 방식이 사용성 측면에서는 더 빠르고 간편할 수도 있다. 하지만 굳이 스마트폰 앱을 켜서 QR코드를 스캔하는 중국의 모습은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텐센트(Tencent)의 고장인 심천(深圳)에서는 QR코드를 통해 지하철을 탑승하는 경우가 이미 50%에 이른다.
② 지불이 서비스를 선도한다!
중국의 QR코드는 지불이 서비스를 리드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테이블에 부착된 QR코드를 통해 주문부터 결제까지 한번에 가능하다. 음식이 서빙될 때 이외에는 점원과 말 한 마디 섞지 않을 정도다. 어쩌면 주요 경제 활동인구인 MZ세대(밀레니얼과 Z세대)의 특징인 언택트(Untact) 성향에 최적화된 서비스라고도 볼 수 있다. 게다가 QR코드를 스캔하면 보유 디바이스의 운영체제를 인지해 해당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할 정도로 고도화됐다.
③지불의 편리함이 가져온 새로운 시장
공유 경제로 태어난 각종 대여 서비스의 확장도 두드러진다. 조금 센스 있는 식당이나 매장이라면 공유 충전 팩을 대여할 수 있는 머신을 들여놓는다. 빌린 충전팩은 정해진 시간 내에 다른 곳에 있는 충전 팩 함에 반납하면 된다. 이전에는 현금 결제가 압도적이었던 자판기 또한 QR코드를 통해 다시 부흥기를 맞이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상품의 스펙트럼은 계속 넓어지고 있으며,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상품 소개뿐만 아니라 쿠폰을 함께 제시하는 등의 공격적인 마케팅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 무인 상점, 주차장의 사전 결제 서비스 등을 통해 기다림의 시간도 줄여놨다. QR코드 결제가 만들어 낸 현상은 AI나 IoT, VR, 빅데이터와 결합하며 무궁무진한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자, 다시 돌아와서 중국에서 이렇게나 많은 QR코드를 사용하는 것은 단순 편리함과 시간의 효율성 때문일까?
알리페이와 위젯 페이의 사용량은 현재 결제 시장의 93%를 차지한다. 그렇게 모인 소액결제를 통해 고객 데이터는 알리페이와 위젯 페이에 고스란히 저장된다.
알리페이 내에는 약 100만 개 이상의 미니 앱(小程序)이 존재한다. 앱스토어에서 따로 앱을 다운로드하지 않더라도 페이 앱에서 원하는 앱을 탑재시킬 수 있다. 위의 화면은 실제로 필자가 사용하는 알리페이 앱인데, 비행기 티켓을 예매할 수도, 스타벅스 음료를 결제할 수도 있다.
알리페이는 내가 어떤 브랜드를 사랑하는지,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 얼마를 지불하는지 등을 모두 알고있다. 예를 들어 내가 자주 쓰는 앱을 통해 결제하면, 결제 후 비슷한 서비스 앱을 추천하기도 하고, 자주 가는 식당만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으로 적립과 쿠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결제 하나로 나를 이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셈이다.
알리페이가 론칭한 쯔마신용(芝麻信用)은 더욱더 발전된 형태로 실명 사용자의 결제내역, 신용카드 연체 여부, 각종 요금 납부 상황, 모바일 결제 내역, 재테크 상품 가입 현황 등을 제공한다. 또 온라인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점수를 주고, 이에 따른 특혜를 제공하기까지 한다.
가령, 600점 이상이면 자전거 대여 시 보증금 면제 , 650점 이상이면 렌터카를 이용 시 보증금 면제, 700점 이상 시 싱가포르에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는 혜택까지, 실제 생활에서 신뢰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혜택을 주고 있다.
마무리하며
초두에 던졌듯이 단순히 QR코드가 가져온 건 사용성 측면의 편리함 뿐이 아니다. 이 기대 감소의 시대에서 당장 받을 수 있는 나의 혜택, 추천, 서비스 등에 사용자가 반응하는 것이다. 버튼이 어디에 있고 프로세스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는 일부일 뿐이다.
알리페이라는 플랫폼에서 결제 기반의 고객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고객이 떠나지 않도록 세밀하게 케어한다. 그렇기 때문에 굳이 NFC가 아닌 QR코드로 지하철을 타는 것이다. 고객을 이해한 고도화된 개인화 서비스로, 사용자도 모르는 사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사랑받을 수 있는 시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