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브랜드 TOP 50으로 보는 브랜드의 이유 있는 성장세
인터브랜드는 베스트 코리아 브랜드 TOP50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브랜드’와 ‘신규 진입 브랜드’를 선정했다. 그들이 취한 Iconic Moves를 통해 업계 흐름을 살펴봤다.
가장 높은 성장률 기록한 브랜드
시장상황에 대한 민첩한 대응, 신규 특화서비스, 파트너십 등을 성공요인으로 평가
2019년 베스트 코리아 브랜드에 선정된 50대 브랜드 중 전년도 대비 가장 큰 폭의 성장률(Top Growing)을 보인 브랜드는 SK하이닉스, 카카오,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코웨이, 신세계백화점 순이다.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브랜드들은 시장 내 경쟁심화, 소비자 시장 상황 변화에 대한 민첩한 대응, 신규 특화 서비스를 통한 경쟁력 확보, 과감한 파트너십을 통한 성장 기회 확대를 도모하며 큰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평가됐다.
SK하이닉스(10위)는 브랜드 가치 2조 8,222억 원, 36.5%의 가장 높은 성장률을, 카카오(22위)는 브랜드 가치 1조 1,189억 원, 26.5%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LG생활건강(19위)은 브랜드 가치 1조 4,102억 원으로 작년 대비 17.5% 성장했고, LG유플러스(34위)는 브랜드 가치 6,071억 원으로 작년 대비 15.9% 성장했다. 코웨이(31위)와 신세계 백화점(42위)의 브랜드 가치는 각각 8,875억 원과 4,672억 원으로, 작년 대비 15.3%, 12.6%의 브랜드 가치 성장률을 보였다.
2019년 베스트 코리아 브랜드 신규 진입 브랜드
혁신적인 시장 확장 및 기술 투자 높이 평가
CJ ENM, 넷마블, DB손해보험, 대림산업이 2019년 베스트 코리아 브랜드에 새롭게 진입했다. CJ E&M과 CJ오쇼핑의 합병 법인인 CJ ENM(26위)은 브랜드 가치 1조 423억 원을 기록하며 26위에 이름을 올렸다. 넷마블(46위), DB손해보험(48위), 대림산업(49위)은 각각 4,246억 원, 3,392억 원, 3,357억 원의 브랜드 가치를 보였다.
CJ ENM의 신규 진입에는 기업 합병을 통해 콘텐츠와 커머스를 결합한 혁신적인 사업 모델이 기여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넷마블은 글로벌 게임기업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높여가고 있고, DB손해보험은 적극적인 IT 기술 투자를 통해 고객 편의성을 높였으며, 대림산업은 지속적으로 브랜드 포트폴리오와 시장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① 쇼핑몰, 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 탈바꿈
주방용품/식기 판매 매장에 명품 식기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자주테이블’신세계 백화점에 입점한 화장품 편집매장
‘시코르’
우려 속에서 생긴 스타필드 코엑스의 중앙에 위치한 ‘별마당 도서관’. 이제 별마당 도서관은 코엑스몰의 활기를 불어 넣어주는 없어서는 안 될 랜드마크가 되었다. 이렇듯, 리테일 산업은 점점 오프라인 매장에 색다른 조합을 더해 재미와 가치를 전달하고 있다.
신세계 백화점도 마찬가지. 신세계 백화점은 2018년 매출액 4조 5,508억 원, 영업이익 2,423억 원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매출은 소폭 하락했으나, 영업이익이 약 10% 상승했다. 2005년 본점 레노베이션을 시작으로 백화점을 대형화, 복합화, 고급화시켜 매출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단순한 쇼핑 공간을 넘어 체험/엔터테인먼트 시설을 함께 마련하며 백화점을 넘어 해당 지역의 랜드마크로 거듭나고, 외부인들을 적극 유인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주방용품/식기 판매 매장에 명품 식기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자주테이블’과 화장품 편집매장 ‘시코르’를 통해 최근 고객들의 소비 트렌드를 반영하는 모습이다.
② 빅브랜드, 밀레니얼 세대에 맞춘 광고 콘텐츠 선보여
현대건설 웹드라마
‘설레는 직딩청춘, 현대건썰’SK하이닉스 2018 채용 광고
‘테네시티 신드롭’LG생활건강 바이럴 영상 ‘본격 LG빡치게 하는 광고’
지난 한 해에 이어 올해 역시, 밀레니얼 세대의 눈길을 끌기 위한 ‘병맛 콘텐츠’와 ‘웹드라마’ 경쟁이 치열하다. 현대건설은 건설업계 최초로 웹드라마 ‘설레는 직딩청춘, 현대건썰’을 공개하고 조회 수 64만 뷰를 기록하며 건설사의 딱딱한 이미지에서 탈피하고자 했다.
2018년 매출 40조 4,451억 원, 영업이익 20조 8,438억 원을 기록한 SK하이닉스도 마찬가지. 2018 하반기 공채를 맞아 제작한 광고 ‘테네시티 신드롬’과 같이 젊은 타깃으로 한 광고를 잇따라 내놓으며 국내외 합산 유튜브 조회 수 1.5억 뷰 이상을 기록하는 등 큰 화제가 됐다. B2B기업의 광고가 대중적으로 이렇게 주목을 받는 것은 굉장히 드문 일이다. 광고 외에 SK하이닉스는 다양한 브랜디드 콘텐츠를 통해 브랜드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LG생활건강 역시 세탁세제 ‘Figi’의 바이럴 영상 ‘본격 LG 빡치게 하는 광고’를 선보이며 소비자의 눈길을 끌었다. 물론, B급광고는 광고 업계 전반적으로 유행하며 뻔한 흐름이었을 수도 있지만 모범생과 같은 빅브랜드가 이러한 흐름을 취하자 소비자가 되려 걱정하게 만드는 재미를 선사했다.
③ 렌탈 산업의 활성화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며 ‘소유’보다는 ‘공유’ 및 ‘구독’하는 패턴이 늘어나고 있다. 렌탈 업계는 이러한 소비 스타일과 맞물리며 만만치 않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미세먼지 등의 기후 변화와 함께 정수기뿐만 아니라 공기청정기 등의 품목 역시 각광받고 있다.
2018년 8월 렌탈 판매를 시작한 Coway 사계절 의류청정기는 렌탈 계정 수의 폭발적 성장을 이어갈 넥스트 렌탈 상품으로 꼽힌다. Coway는 기존 주요 사업군인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침대 카테고리 내 신규제품 출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 동시에, 신규 카테고리인 Living Care 내 다양한 제품(의류청정기, 리클라이너, 안마의자, 전기레인지, 주스프레소 등)을 확장/출시해 다양해지는 고객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④ 콘텐츠 왕국을 향한 카카오의 행보
카카오는 2018년 매출 2조 4,167억 원(전년 대비 +22.5%)을 달성하며 역대 최고 매 출을 경신했으며, 영업이익은 730억 원(전년 대비 -55.9%)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이 다소 부진했던 이유는 신사업 투자가 가장 큰 요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나, 작년에 이어 전체 매출 중 콘텐츠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50.0%로 가장 높았고, 광고 사업이 27.7%로 뒤를 이었다.
카카오는 음악 콘텐츠 회사 ‘멜론’, 연예기획사 4곳를 인수했으며 최근에는 게임회사 ‘넥슨’ 인수戰에 뛰어들며 게임 콘텐츠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카카오페이지와 픽코마 등으로 콘텐츠 사업을 꾸준히 키우고 있으며 카카오페이를 생활금융 플랫폼으로 성장시키려는 투자 역시 지속해왔다. 이에 더해,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 ‘Ground X’를 설립하며 콘텐츠 왕국을 향한 행보를 천천히 걸어나가고 있다.
⑤ 브랜디드 콘텐츠의 강세
브랜드를 문화나 엔터테인먼트 요소와 자연스럽게 통합한 브랜디드 콘텐츠가 그 강세를 여전히 이어나가고 있다. CJ E&M과 CJ오쇼핑의 합병 법인인 CJ ENM을 통해 이러한 흐름을 여실히 살펴볼 수 있다.
CJ E&M과 CJ오쇼핑의 합병 법인인 CJ ENM(26위)은 브랜드 가치 1조 423억 원을 기록하며 단숨에 26위에 올랐다. CJ ENM의 신규 진입에는 기업 합병을 통해 콘텐츠와 커머스를 결합한 혁신적인 사업 모델이 기여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CJ ENM의 2018년 매출은 4조 3,576억 원으로 전년대비 9.7%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150억 원으로 9.5% 늘어났다. 미디어 부문은 ‘미스터 션샤인’을 포함한 콘텐츠의 성황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1%, 80% 증가했고, 커머스 부문 역시 단 독 브랜드와 T커머스, 모바일 채널을 통해 실적을 끌어올렸다.
미디어 산업은 독자적인 콘텐츠를 제작하고 판매와 유통을 통해 수익을 낸다. 기존의 콘텐츠가 특정 매체에 방영되면 추가적인 수익 창출이 어렵다는 점이 미디어 사업의 한계라고 언급되어 왔는데, 합병사 CJ ENM은 콘텐츠와 커머스 비즈니스를 동시에 보유하며 지속적인 수익을 위한 토대가 마련되었다. 미디어 부문이 보유한 경쟁력 있는 콘텐츠와 커머스 부문이 보유한 홈쇼핑,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독자적인 브랜드들(PB, LB)이 향후 상호 간의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