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준영님의 아티클 더 보기

뉴스

요즘 뜨는 시니어 크리에이터, A세대 특징은?

TBWA 시니어랩, A세대 유튜브 채널 분석 및 소비 행태 연구

시니어 세대가 디지털 콘텐츠 생산의 주체로 떠오른 가운데 55세 이상을 뜻하는 A세대의 콘텐츠 특징을 분석한 연구가 나왔다.

TBWA 시니어랩은 시니어 세대의 콘텐츠 행태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TBWA 시니어랩은 콘텐츠 시장의 주류가 된 시니어 세대에 대해 2020년부터 다양한 연구를 지속해 왔다.

한국리서치 및 모바일 인덱스 조사에 따르면 A세대 60% 이상이 주 4일 이상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으며, 유튜브 앱 일간 사용 시간은 2030세대와 유사할 만큼 콘텐츠 소비에 적극적이다.

콘텐츠 생산에서도 역할이 두드러지는데, 1세대 시니어 크리에이터가 주로 자녀나 손주 등 타인으로부터 기획된 콘텐츠를 생산했던 것과 달리, 2세대는 직접 콘텐츠 기획부터 제작까지 도맡는다. ‘새로운 것을 두려움 없이 시도’하는 성향과 디지털 친숙도 증가가 맞물린 결과라는 설명이다. 이들은 동년배뿐 아니라 젊은 세대로부터 선망 받으며 기존 시니어에 대한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있다.

TBWA 시니어랩이 발간한 이번 보고서는 A세대 시청자 비율이 높은 유튜브 채널을 분석해 A세대의 콘텐츠 소비 행태를 정리했다. 콘텐츠 소비 목적에 따라 시사 및 경제 정보 습득, 은퇴 후 삶에 대한 정보 습득, 취미 및 자기계발, 즐거운 여가시간, 정서적 안정, 커뮤니티 참여 등 6가지로 나누어 분석, 이들이 콘텐츠 소비를 통해 충족하려는 욕구를 발견하고, 향후 브랜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A세대의 니즈가 높은 콘텐츠의 방향성을 짚었다.

아울러 2세대 시니어 크리에이터를 분석한 내용도 담았다. 이들은 기존의 권위적이거나 무료한 시니어와 달리, 주체적인 삶을 보여주며 동년배 시니어는 물론 젊은 세대에게도 선망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콘텐츠를 전문성 기반 정보 전달, 라이프스타일 공유, 세대 공감 소통, 재미 제공 등 4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특히 세간의 고정관념과 달리 은퇴 후 부부가 캠핑을 가거나, 60대에 어학연수를 떠나거나, 파이어족으로서 월 100만원 생활자로 살아가는 등 과거에는 상상 하지 못했던 새로운 시니어의 모습이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BWA 시니어랩은 시니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분석을 통해 시니어 관련 마케팅 방안을 탐색하는 워크샵, 시니어 타깃 공략 브랜드 요소를 개발하는 솔루션 등 시니어 전문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 전문은 TBWA 시니어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