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동욱님의 아티클 더 보기

뉴스

오픈AI, 챗GPT 월 구독료 6만원까지 올린다… 내년 매출 올해 3배 예상

매출 급증에도 50억 달러 손실 예상 손실 막기 위해 구독료 인상에 투자 유치까지

(자료=오픈AI)

챗GPT의 개발사 오픈AI가 2029년 매출 1000억 달러(약 131조원)을 목표로 하고 향후 5년간 챗GPT 플러스 월간 구독료를 현재 20달러에서 44달러(약 6만원)까지 인상할 것으로 나타났다.

2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는 자체 입수한 오픈AI의 재무 보고서 문서를 토대로 올해 오픈AI가 37억 달러(약 4조 8000억원)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16억 달러(약 2조 1300억원)의 두 배가 넘는 수준으로, 올해 오픈AI의 당초 목표치 34억 달러(약 4조 4000억원)를 초과한 액수다.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오픈AI의 올해 8월 매출은 3억 달러(약 4000억원)로 작년 초와 비교해 1700% 증가했다. 오픈 AI는 내년 매출을 116억 달러(약 15조 2000억원)로 예상했다.

아울러 오픈AI는 내부 재정 문서에 올해 말까지 챗GPT 플러스의 월간 구독료를 2달러 인상하고 향후 5년 동안 44달러까지 인상할 계획이라고 적시했다. 오픈AI는 현재 1000만명의 챗GPT 플러스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챗GPT 플러스의 월간 구독료 인상에는 서비스 운용 비용 및 직원 급여와 사무실 임대료 등으로 인한 적자로 추측된다. 문서를 검토한 금융 전문가들은 뉴욕타임스에게 오픈AI가 올해 약 50억 달러(약 6조 6000억원)의 손실을 겪을 것이란 분석을 제시했다. 분석엔 직원들에게 지급하는 주식 관련 보상이 포함되지 않아 지출 비용은 더욱 늘어날 수 있다.

오픈AI는 적자 탈출을 위해 구독료 인상과 더불어 투자유치를 준비하고 있다. 문서에 따르면 오픈AI는 현재 회사 가치를 1500억 달러(약 195조 7000억원) 규모로 잡고 70억(약 9조 1000억원) 달러 규모 투자 유치 협상을 진행 중이다.

뉴욕타임스는 “챗GPT 이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출 비용도 늘어나기 때문에 내년에도 자금을 지속 모금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