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는 왜 ‘스팀청소기 단점’을 검색할까?
어센트코리아 ‘인텐트 데이터 리포트 3월호 ‘소형가전’ 편 공개
검색 빅데이터 분석 기반 마케팅 테크(MarTech) 기업 어센트코리아가 소형가전을 주제로 한 ‘인텐트 데이터 인사이트 리포트’ 3월호를 공개했다.
검색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리스닝마인드 허블’을 활용해 소형가전 검색어(네이버 및 구글 기준)에 숨은 소비자 의도를 분석했다. ‘소형가전 카테고리 토픽 TOP5’ ‘주방 소형가전 카테고리 토픽 TOP5’ ‘소형가전 인텐트 관련 토픽 TOP5’ ‘소형가전 브랜드 검색량 TOP10’ 등의 내용이 담겼다.
소형가전 하위 카테고리 중 가장 많은 검색량을 보인 제품은 청소기로 나타났다. ‘청소기’를 포함한 검색어는 총 420만 회(2023년 3월~2024년 2월) 검색됐다. 이어 가습기(331만 회), 에어프라이어(277만 회), 정수기(212만 회), 전자레인지(148만 회) 순으로 집계됐다.
리스닝마인드 허블의 로드뷰 기능을 활용해 ‘다이슨청소기’와 ‘무선청소기 흡입력 순위’ 두 키워드 사이의 검색 여정을 살펴본 결과, ‘다이슨청소기’를 검색한 소비자는 ‘다이슨청소기 후기’ ‘무선청소기 후기’ 다이슨청소기 비교’ ‘다이슨청소기 가격’ 등을 검색한 뒤 ‘무선청소기 추천’ ‘저렴한 청소기 추천’ ‘무선 청소기 추천 가성비’ 등을 찾아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다이슨청소기 가격에 대한 저항감으로 저렴한 청소기를 찾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리스닝마인드 허블의 클러스터파인터를 통해 ‘로봇청소기추천’ 키워드와 가장 연관되는 미디어를 분석한 결과, 유튜브, 노써치, 다나와, 네이버블로그, 클리앙, LG전자, G마켓 순으로 나타났다. 클러스터파인터는 같은 의도를 가진 키워드를 묶어 고객의 관심사를 파악하는데 기능이다.
스팀청소기의 경우 단점을 검색한 소비자가 많았다. 리스닝마인드 허블의 패스파인더 ‘페르소나뷰’ 기능을 통해 ‘스팀청소기 단점’을 검색한 소비자의 의도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는 ‘스팀 청소기’와 ‘물걸레 청소기’의 장단점, 나아가 건습 청소와의 비교, 카펫 청소 등 특정 청소에 적합한지 여부를 알고 싶어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센트코리아는 매월 마케터를 대상으로 오프라인 모임인 ‘리스닝마인드 데이터 인사이트 클럽’을 진행한다. 리포트 내용을 소개하고 리스닝마인드를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자리다. 아울러 매주 목요일 11시에 리스닝마인드 허블 사용법을 소개하는 웨비나를 진행한다. 웨비나는 어센트코리아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가능하며 인텐트 데이터 인사이트 리포트’ 3월호는 리스닝마인드 허블 메인 페이지 내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