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재민님의 아티클 더 보기

뉴스

법안 통과로 ‘마이데이터 시대’ 개막… 펜타브리드, IBCT와 마이데이터 사업 추진

펜타브리드X블록체인기술연구소, 마이데이터 사업 MOU 체결

올해로 22년 차를 맞이한 디지털 마케팅 전문 기업 ‘펜타브리드’가 블록체인 전문 기술기업 ‘블록체인기술연구소(이하 IBCT)’와 2월 28일 마이데이터 사업 공동 추진 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IBCT가 개발한 블록체인 기술 기반 개인정보 보호·관리·접근·이동을 위한 ‘DIDH(Decentralized Identity Data Hub)’ 기술을 활용해, 마이데이터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B2B·B2C 서비스로 확장하기 위한 로드맵을 함께 만들기로 했다.

협약식을 마친 박태희 펜타브리드 대표(왼쪽)와 이정륜 블록체인기술연구소 대표(오른쪽)

특히 이번 협약은 바로 전날인 27일 ‘개인정보보호법’이 국회를 통과한 시점에서 이뤄져 눈길을 끈다. 통과된 법률안은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을 개인에게 부여해 개인정보 소유권을 기존의 데이터 수집 기업에서 개인에게 넘겨주는 법률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와 사회에 끼칠 파장이 상당히 클 것으로 예측된다.

앞으로 마이데이터 소유권을 가진 개인은 법률에 의거해 자신의 데이터를 원하는 사업자에게 제공해, 다양한 서비스 보상과 혜택을 받게 될 전망이다.

기업을 위한 개인정보 관리 및 전송 시스템 제공

법률 통과로 인해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모든 기업은 개인 식별 정보의 분산 저장 보호 관리 의무는 물론 개인의 요구가 있을 경우, 이를 반드시 요구 받은 사업자에게 전송해야 하는 의무를 동시에 지게 된다.

펜타브리드와 IBCT의 협력은 이런 의무를 지닌 사업자들을 위해, 강력한 기술과 보안 수준을 지닌 개인정보 보호 관리 시스템 구축과 개인의 데이터 전송 요구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B2B2C 플랫폼을 제공해 기업의 법적 이슈를 해결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하고 있다.

마이데이터 사업에 쓰일 DIDH기술은 국제 DID 기술 표준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DIF(Decentralized Identity Foundation)에 등재된 글로벌 표준 기술을 근간으로 하며, 높은 기술 장벽을 가진 어려운 기술이다.

IBCT의 DIDH 기술은 가장 강력한 개인정보 보호법을 추진하고 있는 EU의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규정에도 부합하는 기술로, 유럽 내 글로벌 기업은 물론 미국 생체인증 핵심 기업과도 기술 제휴를 논의할 정도로 인정받고 있다.

개인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동시 진행

법이 시행되는 6개월 후부터 개인은 자신의 가입 정보 및 각종 활동 정보 데이터를 원할 시 타 사업자에게 제공 가능하며, 이를 기존 가입된 플랫폼 사업자에게 요구할 권리가 생긴다. 이 상황에서 개인은 데이터를 직접 받아 전달하는 것보다 데이터를 수취할 기업에게 전달하도록 요청하게 된다. 이는 데이터가 위변조를 방지하고 사업자에게 데이터 관리의 책임을 지게 하기 위함으로, 개인은 사업자 사이에서 직접 데이터 전송과 수신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펜타브리드와 IBCT는 이런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이데이터 관리 이슈 해결을 위해, 마이데이터 전송 요청 과정 전반을 개인이 직접 진행 및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더불어 개인 맞춤 서비스, 데이터 전송에 따른 부가 수익과 혜택 선택 서비스 등 다양한 B2C 모델을 함께 개발해 데이터 주권은 물론 이로써 발생하는 여러 수익을 개인에게 돌려줄 계획이다.

박태희 펜타브리드 대표는 “AI 웹 3.0 시대의 B2B 파트너를 위해 그동안 서비스와 사업 모델을 준비한 노력이 이번 협약을 통해 진정한 웹 3.0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는 계기를 앞당겨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