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슬기님의 아티클 더 보기

뉴스

딥링킹은 어트리뷰션의 확장이다?

앱스플라이가 숙련된 기술을 보유한 독자가 어트리뷰션 및 딥링킹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습득하고 모바일 환경에 관한 최신 트렌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준비했다.

우선 어트리뷰션에 대해 앱스플라이는 “앱 스토어들은 사용자가 앱을 검색하는 시점부터 설치 후 실행하는 시점까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는 안정적인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때문에 사용자 유입 경로 및 앱 다운로드를 유도한 사용자 출처에 대한 중요 데이터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속성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3자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이 과정이 어트리뷰션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을 제공하는 외부 협력업체를 어트리뷰션 제공업체라고 부른다”고 설명했다.

이어 앱스플라이는 “일반적으로 어트리뷰션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SDK는 모바일 웹상의 기기를 ‘핑거프린팅’해 사용자를 어트리뷰션한 다음, 사용자가 앱을 실행할 때 이 정보를 매칭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기기의 IP, 휴대전화 사이즈, 스크린 사이즈, OS, OS 버전 정보가 공통적으로 수집된다”고 짚으며 “어트리뷰션 업체는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앱 스토어로 사용자를 안내한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 리시버를 보유한 안드로이드를 제외하고는 앱 스토어를 통한 데이터 전송은 없기 때문에 앱에 포함된 외부 업체의 SDK는 사용자의 앱과 함께 다운로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앱을 실행하면 SDK가 사용자의 데이터를 포착하고 시스템에 전송해 사용자를 매칭한다”고 말했다.

이 방식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앱스플라이는 “유료 미디어 채널이 보고하는 데이터의 정확성은 신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미디어 소스 전반에서 데이터를 집계하고 데이터 수집업체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단일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어트리뷰션을 인정받은 유료 채널을 통해 들어온 딥링킹 사용자의 앱 잔존율은 31% 증가한다. 일반 어트리뷰션 링크 사용자와 비교했을 때 딥링킹 사용자의 전환율은 2.5배 더 높았다. 딥링킹 과정이 사용자 의도가 더욱 잘 반영되므로 높은 수익으로 이어진다”며 “연구 결과에 따르면 딥링킹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 1명당 평균 수익(APRU)이 148% 증가한다. 따라서 딥링킹은 어트리뷰션의 확장이다. 어트리뷰션과 딥링킹이 서로 다른 개념 또는 기술이라는 오해가 시장에 만연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또한 딥링킹 기술의 작동 방식에 대해 “앞서 우리는 사용자가 링크 또는 광고를 클릭하는 방식을 설명했다. 그 다음 사용자가 앱을 실행하면 어트리뷰션 SDK가 사용자의 데이터를 순간 포착해 매칭하기 위해 데이터를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 데이터는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트래킹하기 위해 iOS의 IDFA 및 안드로이드의 GAID에도 연결된다. 매칭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그중 한 가지는 ‘핑거프린팅’ 방식이다”라고 덧붙이며 ” 사용자가 앱을 보유하고 있으면 높은 정확성을 보장하는 결정적 매칭이 가능하다. URI 스킴(my-app://), 유니버설 링크, 안드로이드 앱 링크, 크롬 인텐트(manifest를 통한 활동 등록 및 처리) 등 이미 정해진 흐름을 따라 앱이 즉시 실행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이에 앱 개발자의 역할에 대해 “앱스플라이와 같은 어트리뷰션 솔루션은 쌍으로 구성된 결정적 키 값을 쿼리 파라미터 집합에 추가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 집합은 클릭으로 확인 할 수 있으며 앱을 실행하는 순간 즉시 검색된다. 바로 이 시점에서 SDK는 링크 및 그 외 연관된 어트리뷰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콜백을 앱에 제공한다”며 “이제 앱 개발자가 이 콜백 데이터를 가져올 차례다. 개발자들은 사용자정의 이벤트를 기록하고, 메시지를 발송하고, 일부 활동에 대한 로그를 남기는 등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사실은 개발자들이 어트리뷰션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용자를 앱의 특정 지점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이 바로 딥링킹이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디퍼트 딥링킹은 “사용자가 앱을 설치한 후 처음 실행하는 순간에 어트리뷰션 데이터를 불러오고 정의된 경로나 링크에 대한 파싱(parsing) 작업을 수행하고 사용자를 앱의 특정 페이지로 라우팅하기 위해 데이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디퍼드 딥링킹이다”고 말하며 “지금까지 설명대로 어트리뷰션과 딥링킹은 분리해서 볼 기술이 아니라 딥링킹은 어트리뷰션 데이터의 확장 또는 활용을 의미한다”며 깊이를 더했다.

*출처 – 앱스플라이 <개발자를 위한 딥링킹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