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가 느끼는 마케팅의 변화
오늘 아침도 어김 없이 펜타브리드의 뉴스레터인 펜타포스트를 받았습니다. 내용을 천천히 훑다보니 ‘기획자가 느끼는 마케팅의 변화’라는 글에 눈이 멎었습니다. 김한범 팀리더(MG BD)의 글입니다. 코로나 팬데믹 전과 후로 구분한 마케팅의 변화에 대한 부분을 간략히 설명했습니다. 이에 독자 여러분과 정보를 나누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코로나 팬데믹 이전 마케팅의 분야를 나눈다면 크게 2가지였습니다.
ATL / BTL 과거에는 4대 매체를 중심으로 워낙 파급력이 강한 환경이다 보니,이렇게 매체 사용 여부에 따라 그 범주를 나누기도 했습니다.
ATL의 가장 큰 특징을 꼽자면 바로 파급력입니다. 과거에는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이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온라인, 모바일, SNS 등을 이 범주에도 포함합니다.
이런 ATL 매체의 가장 큰 약점은 제품은 알릴 수는 있어도, 그 제품에 대한 직접적인 고객 경험은 전무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입니다.
이에 반해 BTL 분야는 고객이 직접 그 제품 또는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통 이벤트, 전시, 홍보(PR), PPL, 옥외광고 등의 범주로 볼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ATL은 소통의 채널이 일방적인 경우 예를 들어 전통적인 미디어 광고를, BTL은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비교적 규모가 작은 오프라인 행사를 일컫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사회적 거리 두기를 진행하면서 BTL은 이러한 시기에 적절하지 않은 마케팅 방법으로 평가되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언택트 마케팅(Untact, 비대면접촉)으로 방식이 바뀌고 있습니다.
이러한 언택트 마케팅은 ATL과 BTL의 경계가 모호한 결과를 가져왔고 TTL이란 용어도 등장(Through the Line)하게 됐습니다.
TTL은 주로 유튜브광고, SNS 마케팅 등을 가리킵니다.
ATL(Above The Line) : TV, Radio, Newspapers, Magazines
TTL(Through The Line) : Web marketing, Social Media, Fairs & Events
BTL(Below The Line) : Press & Public Relations, Direct Marketing, Emailing, Couponing
이젠 경계가 중요한 게 아니라 각각 상호영역에서 나오는 반응을 잘 조율해 최상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