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관식님의 아티클 더 보기

뉴스

국민 다수 “외국 용어, 내용 이해하는 데 걸림돌”

언론에서 사용하는 외국어를 접한 빈도(국립국어원)

“외국어가 낯설어서 내용 파악이 힘들어요.”

특히, 언론이나 정부, 공공기관 등에서 사용하는 외국어에 대해 여전히 국민의 과반은 거부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 3월부터 3개월 간 진행된 전문가 논의(새말모임)와 국민 수용도 조사(전국 15세 이상 남녀 2,500명을 대상)에서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7.0%가 낯선 외국어가 “내용 파악에 방해가 된다”라고 응답했다. 또, 55.4%는 언론에서 사용하는 외국어에 대하여 “거부감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2023년 조사 결과에서 각각 48.0%와 50.4%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로 여전히 우리 국민은 낯선 외국어가 내용 이해에 방해된다고 느낄 뿐만 아니라 언론 등에서 사용하는 외국어에 거부감을 느끼고 있다는 얘기다.

누구나 내용을 쉽게 알고, 언어를 사용하는 데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려운 외국 용어가 우리 언어생활에 정착되기 전에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언론이나 정부,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외국어에 대해 응답자의 81.1%가 ‘1주에 한두 번, 1개월에 한두 번’ 접해 봤다고 응답했다. 이는 2023년 91.5% 이상이 접해 봤다는 조사 결과보다는 낮지만 일반 국민이 언론 등에서 외국어를 접하는 빈도가 여전히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2024년 상반기에 잘 다듬어졌다는 평가를 받은 말(1~10위, 국립국어원)

한편,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2024년 상반기에 우리 사회에 유입된 외국 용어 23개를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로 다듬었다.

 ‘밸류업’, ‘온 디바이스 에이아이’, ‘플러팅’ 등 외국 용어 23개에 대해 ‘가치 향상’, ‘단말형 인공지능’, ‘호감 표시’ 등의 쉬운 우리말을 제시했다.

이번 조사에서 2024년 상반기에 다듬은 말 가운데 가장 잘 바꿨다고 국민이 선택한 말은 ‘가치 향상’이었는데 응답자의 89.0%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가치 향상’은 ‘기업이나 조직 등의 가치를 높이려고 제품, 서비스, 시스템, 조직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노력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 ‘밸류업’을 알기 쉽게 다듬은 말이다.

이 밖에도 국민은 ‘자동 요금 징수(스마트 톨링)’, ‘물류 종합 대행(풀필먼트)’, ‘첨단 미용 기술(뷰티 테크)’ 등을 잘 다듬어진 말로 선택했다.

seoulpol@wirelink.co.kr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