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VR·AR EXPO 2018
국내 최대 VR·AR 전문 전시회 & 콘퍼런스, ‘Seoul VR·AR EXPO 2018’
대한민국 최대 VR·AR 전시회
‘Seoul VR·AR EXPO 2018’
국내 최대 VR·AR 전문 전시회 & 콘퍼런스인 ‘Seoul VR·AR EXPO 2018(이하 엑스포)’이 지난달 4월 19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역삼동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개발사, 투자사, 유통사 등 생태계 내의 다양한 플레이어들은 물론 새로운 기술을 체험하고자 하는 일반 관람객들이 한자리에 모여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특히 이번 엑스포는 올해의 VR·AR 관련 첫 행사로, 신작 및 신제품을 선보이는 기업들이 다수 참가하며 더욱 다양한 볼거리를 선사했다.
VR·AR의 인기는 여전하다
엑스포 현장은 평일 점심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관람객들의 입장으로 다소 붐비는 느낌이었다.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 등록한 사람은 물론, 당일 현장 등록대를 찾는 관람객의 발길도 꾸준히 이어졌는데, 사람들이 패용한 목걸이(네임택)를 얼핏 보니, VR·AR 산·학계 종사자는 물론 개인적인 관심으로 행사장을 찾은 이들도 많은 듯 했다. 아무래도 전시 특성상 체험형 부스가 많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도심에 있는 VR 체험 기구를 한 번 이용하는 가격으로 수 십 가지 체험을 할 수 있으니, 사람들이 몰려드는 것도 금방 이해가 된다.
주목 받는 VR 복합 문화공간
올해 엑스포에서 먼저 눈에 띄었던 것은 대형 부스로 참여한 ‘VR 복합 문화공간’ 관련 기업들이다. VR 테마파크의 대중화를 목표로 협력업체들과 대규모 체험존을 선보인 공간은 역시나 일반 관람객들에게 가장 인기가 좋은 곳이기도 했다. 특히 워킹 어트랙션을 비롯한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부문의 콘텐츠와, 이 밖에 다양한 VR 융합 산업 콘텐츠는 그 화려함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10여 년 전 많은 남학생들을 PC방으로 이끌었던 온라인 FPS 게임 ‘스페셜포스’를 이제는 VR로 즐길 수 있다는 점이 개인적으로는 가장 놀라웠다.
VR 활용 영역의 확대
또, 이번 엑스포에 방문해 느낀 점은 현재 단계에서도 VR을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분야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고, 결코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임상 역량 강화를 위해 VR·AR·MR 기반의 의학 실습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해 실제 수술 실습에서 활용하는가 하면, 매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가상현실에서 쇼핑을 체험하고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VR 쇼핑몰을 운영한다고 하니 말이다.
다양한 부대 행사
이번 엑스포는 ‘비즈니스데이’와 ‘퍼블릭데이’로 구분 운영됐으며, 현장을 찾은 관람객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켜 줄 부대행사도 마련됐다. 엑스포 개막일에는 세계 최초, 국내 최초로 공개되는 신작 및 신제품의 발표회가 열렸고, 투자자들과 VR기업 간 매칭을 도와주는 ‘IR 데이’가 20일 열려 VR 업계 성장에 보탬이 되기도 했다. 이 밖에도 오픈 세미나(Open Seminar), 서울 VR·AR어워즈(Seoul VR·AR Awards), 유니티어워즈(Unity Awards), 네트워킹 파티(Networking party)등 다양한 볼거리 및 즐길거리가 준비됐다.
기자픽
기자픽 #① 유엔난민기구
VR 관련 분야를 떠올려보라 하면 보편적으로는 게임, 교육, 군사, 관광 정도에 그치지 않을까? 이번 엑스포에서 기자가 가장 흥미롭게 지켜본 부스는 유엔난민기구였다. 지금까지 유엔난민기구 활동가들을 가장 익숙하게 만나온 공간은 대개 지하철 역 앞이라든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번화가였는데, 이곳에서 마주하게 될 줄이야. 이번 엑스포에서 유엔난민기구는 자타리 난민촌에 살고있는 주민들의 생활을 VR로 체험하게 했다. 난민 문제에 대해 더욱 피부로 느끼고,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한동안 부스 반응을 살피게 됐다.
기자픽 #② Room206
한 때 문화계에서는 원소스 멀티유즈(One-Source Multi-Use)라는 용어가 폭발적으로 사용된 적이 있다. 하나의 콘텐츠를 영화, 게임, 캐릭터 상품, 출판 등 다양한 장르로 확장시켜 부가가치를 극대화 한다는 것으로, 지금은 이것이 산업 내에서 기본 전략처럼 받아들여지곤 한다. 여기에 또 하나의 유즈 형태로서 VR 콘텐츠가 인기를 얻을 수 있겠다는 예상을 하게 해준 곳이 있다. 곤지암 정신병원을 모티브로 제작한 공포 콘텐츠, Room206. 최근 개봉됐던 영화 ‘곤지암’을 자연스레 연상시키는 이곳에서 문화 콘텐츠의 진화를 생각해 봤다.
기자픽 #③ VR 노래방
요즘 웬만한 동네에 하나씩 꼭 있는 것 중 하나가 코인 노래방(혹은 동전노래방)이다. 저렴한 가격으로 스트레스를 풀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특히 10~20대 젊은 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제 코노도 VR이다! 작은 노래방 부스에 들어가 헤드기어를 착용하면 마치 실제 가수가 된 듯 무대가 펼쳐진다. 나의 노래에 집중하고 a 관객들을 바라보거나, 뮤직비디오의 한 장면에 들어와 있노라면, 그야말로 내가 바로 박효신이고, 에일리다. 아직 정식 서비스로 대중화 되지는 않았지만, 누구나 쉽게 가수가 될 수 있는 날이 머지않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