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준영님의 아티클 더 보기

뉴스

MZ 세대의 지갑을 여는 마케팅 비법은?

숏폼부터 가상 인플루언서, 예능 등 독특한 콘텐츠 인기

이른바 ‘MZ세대(밀레니엄+Z세대)’로 불리는 젊은 층이 정치·경제·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계 분위기를 좌우하는 ‘큰손’으로 활약하고 있다. MZ세대는 유행과 트렌드에 민감하지만 무작정 휩쓸리지 않으며, 자신만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 라이프스타일을 영위한다는 특징이 있다.

MZ세대가 각 분야 주요 소비층으로 성장하게 되자, 이들만의 독특한 문화를 마케팅에 효과적으로 녹여내 적극적으로 시장 선점에 나서는 다양한 시도가 눈길을 끈다. ‘숏폼’부터 ‘가상인간’, ‘예능 콘텐츠’까지 참신한 아이디어로 MZ 세대의 소비 심리를 흔드는 기업을 소개한다.

■ 짧고 간결한 콘텐츠에 열광… 숏폼 마케팅 솔루션 ‘숏뜨’

최근 MZ세대 문화 트렌드의 ‘뜨거운 감자’ 역할을 하는 ‘숏폼’은 15초에서 최대 10분을 넘기지 않는 짧은 영상이다. 대표적인 숏폼 플랫폼 틱톡의 지난해 1분기 유저별 월평균 이용 시간은 23.6시간일 만큼 열풍이 거세다.

이런 가운데 숏폼 토탈 솔루션 기업 ‘숏뜨’가 숏폼 트렌드를 활용한 참신하고 톡톡 튀는 마케팅 캠페인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숏뜨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글로벌 대기업부터 스포티파이, 야놀자와 같은 IT 스타트업까지 다양한 마케팅 캠페인을 기획, 실행하며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지난해 서비스 출범 1개월 만에 틱톡과 공식 파트너를 체결했으며, 1년만에 매출 30억을 달성하는 등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이어 나가는 중이다.

숏뜨는 일반적으로 제작사, MCN, 미디어랩으로 쪼개져 집행되던 숏폼 마케팅을 하나로 통합한 올인원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업무 과정을 혁신적으로 효율화해 ‘숏폼 마케팅’ 비즈니스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는 평가다.

새로운 콘텐츠 생산을 위한 투자에도 활발하다. 최근 합정에 30평대의 숏폼 전문 제작 스튜디오인 ‘숏뜨 스튜디오’를 설립해 크리에이터들이 영상 기획, 제작에만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카메라부터 크로마키, 의상, 메이크업룸, 탈의실, 조명 등 크리에이터 개인이 구비하기 어려운 장비를 지원한다.

■ 가상 인플루언서, 셀럽 마케팅의 새로운 대안으로 관심

MZ세대 문화의 특징은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 기기를 접한, 이른바 ‘디지털 네이티브’라는 점이다. 기업은 이를 활용해 MZ세대에 참신한 모습으로 다가가고자 ‘가상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을 시도하고 있다. 가상 인플루언서는 사생활 리스크를 걱정할 필요가 없으며, 시공간 제약 없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롯데홈쇼핑에서 자체 개발한 가상 인플루언서 ‘루시’는 SNS와 더불어 자사 모델로 활동하며 10만명 이상의 팔로어를 확보했다. 에프앤비(F&B), 패션, 명품 등 국내외 유명 브랜드들의 광고모델을 맡으며 셀럽으로서 입지를 탄탄하게 다진 루시는 홈쇼핑에서 실시간 고객 소통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라이브 방송 진행자로도 나서며 전방위적인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신세계그룹이 그래픽 전문기업 펄스나인과 손잡고 제작한 Z세대 가상인간 ‘와이티’도 상품 모델의 영역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역할을 해내고 있다. ‘영원한 스무살(Young Twenty, YT)’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와이티는 다양한 브랜드의 광고 모델과 함께 라이브커머스를 진행하며 지난해 활동 4개월만에 약 2만명의 팔로워를 모으기도 했다. 작년에는 프로야구단 SSG랜더스의 SSG랜더스필드 홈경기 시구자로도 나서며 야구팬들을 비롯한 대중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 예능 콘텐츠, 기업 숨기고 ‘공감’ 드러내… 긍정적 이미지 형성

MZ세대는 상품을 구매할 때 단순한 소비 활동을 넘어선 재미와 간접 경험을 선호한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기업은 ‘광고’ 느낌이 나는 콘텐츠를 삼가고, 스토리라인과 캐릭터를 강조해 콘텐츠 자체의 재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존 마케팅 문법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식의 유튜브 마케팅이 충성 구독자로 이어진다는 판단에서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GS25의 공식 유튜브 채널 ‘이리오너라’는 구독자수 100만명을 돌파했다. ‘못배운놈들’ ‘갓생기획’ ‘편의점 알바생 박재범의 하루’ 등 주로 예능 콘텐츠를 통해 대중과 소통한 GS리테일은 처음부터 유튜브 채널을 광고가 아닌 고객들에게 재미를 주기 위한 채널로 기획했다. 편의점 유튜브 채널임을 잊고 그저 예능으로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하면서, 고객에게 GS25에 대한 친밀도와 인지도를 높여 인기몰이에 성공한 셈이다.

결혼정보회사 듀오 역시 예능 콘텐츠를 활용 중이다. MZ세대의 연애, 결혼에 관한 인식부터 소개팅, 연예 고민 등 2030세대가 흥미를 가질 만한 ‘연애와 결혼’이라는 주제를 색다른 방식으로 다뤘다. 이와 함께 실제 듀오를 통해 결혼에 골인한 커플들의 이야기를 담은 ‘성혼 콘텐츠’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실제로 지난 2월 시청자 연령 중 ‘만 25세~34세’(52.7%)가 1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