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형 행사로 ‘AI 대중화’ 촉진… IAAE, ‘Gen AI Innovation 2024’ 성료
AI의 비즈니스 활용 방안과 비전문가 위한 실습 교육더해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가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AI 코리아 커뮤니티(AI KOREA COMMUNITY)와 공동으로 주최한 ‘Gen AI Innovation 2024 in Korea’ 컨퍼런스를 성료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는 생성형 AI를 주제로 한 행사 가운데 국내 최초로 참여형으로 진행된 행사다. 그만큼 AI시장의 미래나 방향성 등 포괄적인 주제에 국한된 것이 아닌, 보다 산업 현장에 가까운 실무적인 기술을 공유하는 자리로 자리로 요약될 수 있다. 실제 행사에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생성형 AI의 최신 기술 트렌드를 업무·비즈니스에 실질적으로 활용해 높은 생산성과 능률을 확보한 전문가가 대거 참여해 생성형 AI의 활용 방안과 실제 실습 기회, 나아가 윤리적 활용에 대한 토의 등 폭넓은 교류가 오갔다.
행사는 개발자, 마케터, 데이터 분석가 등 국내외 AI현업 종사자와 더불어 일반 시민과 학생, 다양한 분야의 실무진 등 약 2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주요 연사로는 바네사 헝(Vanessa Hung) 카본6(Carbon6) 공동 창립자가 ‘하이퍼 펄소널리제이션(Hyper Personalization)’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이커머스 시장을 아마존으로 대표해 설명하며 초개인화 시대에 AI를 활용해 개인에 맞춘, 취향을 예측하고 상품을 제안하는 단계까지 나아가는 현황을 자세히 다뤘으며, 크리스 메든(Chris Madden) 이메진 AI 라이브(Imagine AI Live) CEO는 북미 시장에서 이미 주요 트렌드로 부상한 팟캐스트를 소재로 생성형 AI를 활용해 효과적으로 콘텐츠를 가공하는 방법에서부터 긴 길이의 팟캐스트 등 롱폼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틱톡 등 숏폼 콘텐츠로 변환하고 관리하는 방법까지, 경험에서 파생된 다양한 노하우를 가감 없이 공개하기도 했다.
또한 국내 기업에서는 정호영 젝시아(ZEXEA) 대표가 AI 엔지니어로 터득한 경험을 바탕으로 패턴 발견에서 실험, 그리고 정리로 이어지는 AI 프롬프트 작성 숙련도 향상의 방법론을 공유했으며, 이한준 스태커스(Stackers) 대표는 자신의 글쓰기가 가진 프레임워크를 생성형 AI에 학습시켜 자신의 색깔이 녹아든 더욱 높은 완성도의 결과물을 얻는 방법 등 챗GPT, 스테이블(Stable Diffusion) 등 다양한 생성형 AI를 활용해 각각의 의도에 부합하는 비즈니스적 글쓰기에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외에도 김시현 AI 크리에이터 랩(AI Creator Lab) 대표는 메이크(MAKE) 툴을 활용한 실제 자신의 업무 자동화 노하우를 통해 다양한 AI를 복합적으로 활용해 업무의 상당량을 자동화하는 비결을 공개해 청중의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그는 직접 자신이 AI를 활용하는 방법을 시연하며 메이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생성형 AI 툴을 연동해 아침마다 자동적으로 유튜브에서 필요한 정보를 스크랩하는 방법에서부터 자신의 얼굴과 목소리가 담긴 영상을 학습시켜 텍스트에 기반한 팟캐스트 제작을 실험하는 등 생성형 AI를 통해 확장되는 효율적인 과업의 가능성을 폭넓게 제시했다.
아울러 파울라 비바스(Paula Vivas) 프리픽(FREEPIK) 미국 마케팅 총괄과 자비 로페즈(Javi Lopez) 매그니픽 AI(Magnific AI)의 공동 CEO 등 해외 생성형 AI 비즈니스의 선두에 있는 인물들이 직접 연단에 올라 생성형 AI와 관련된 인사이트를 나누기도 했다.
파울라 마케팅 총괄은 프리픽을 통해 AI가 디자인 산업에서 창의성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가에 대해 설명했으며, 새로운 AI 도구를 공개해 사용자의 창의적 작업에 대한 지원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자비 CEO는 AI 기반 이미지 생성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혁신 사례를 소개하며 직접 매그니픽 AI를 활용해 제작된 콘텐츠를 공개하는 동시에, 즉석에서 청중이 프롬프트를 입력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경험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에 더해 시민, 학생 등 비전문가를 위한 실습 교육도 함께 진행돼 호응을 얻었다. ‘AI 엔지니어가 알려주는 인생을 바꿔줄 프롬프트의 정석’ 세션에서는 참가자가 직접 AI 모델을 다루며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법을 익혔으며, ‘이미지 생성형 AI로 원하는 이미지 만들기’, ‘생성형 AI로 뮤직비디오 만들기’ 등 참가자 콘테스트도 진행돼 청중이 직접 AI의 다양한 창작 가능성을 체험해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실제 실무에 적용 가능한 생성형 AI 활용 방법을 대거 제시한 이번 행사는 대중은 물론 다양한 업계의 실무진이 생성형 AI의 실제 과업과 일상에 대한 활용에 궁금증을 던지는 현시점에 생성형 AI의 실효성을 증명해 낸 동시에, 나아가 AI가 이미 일상에 깊숙하게 녹아들고 있는 요소임을 체감하게 한 자리로 풀이된다.
박성철 AI 코리아 커뮤니티 대표는 “이번 컨퍼런스는 AI의 대중화와 해외 기업 및 국내 일반 사용자 간의 교류를 목표로 했으며, 그 성과를 이루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AI 코리아 커뮤니티는 더 많은 시민들이 AI를 일상에서 쉽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창배 IAAE 이사장은 “이번 컨퍼런스는 글로벌 생성형 AI 기업 전문가와 함께 비전문가인 시민, 직장인, 학생이 함께 참여형으로 소통하며 진행한 국내 최초의 생성형 AI 컨퍼런스라는 의미가 있다”면서 “앞으로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는 국민의 AI 역량을 높이고 글로벌 AI 전문가들과 소통할 수 있는 꾸준한 기회를 만들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