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단순 도구가 아닌 마케팅의 시작
호모 하빌리스, ‘도구를 쓰는 인간’이라는 뜻이다. 과거 인간은 돌을 사용해 곡식을 갈고 채소를 잘랐다. 그리고 막대기를 덧대서 도끼로 썼다. ‘돌’이란 대상을 발견한 데서 그치지 않고 특성을 파악 후 가공해 다른 활동에 활용한 것이다.
시간을 건너뛰어도 마찬가지다. 전자 연산과 전자식 기록장치를 개발하고 DATA의 개념을 찾아낸 뒤로 0과 1의 이진법만으로 문서와 이미지를 생산하고 저장했다. 물질을 넘어 인간은 대상을 탐구하고 활용했다.
그런 의미로 Generative AI의 등장은 충격의 연속이다. 간단한 텍스트만 입력하면 알아서 광고 문구를 뽑아주고 그림을 그려준다. 그런 AI를 아직은 포토샵을 쓰고 워드프로세서를 쓰듯 도구로 쓰고 있다.
20세기와 21세기 초 인간은 도구로 광고하며 마케팅을 시작했다. 인쇄 기술이 발전했고 전단지가 나왔다. 디스플레이가 새로 발명됐고 동영상 광고가 나왔다. 인터넷이 발달하자 검색광고와 커뮤니티 마케팅이 발전했다.
그에 반해 AI는 아직 광고 마케팅에 활용처를 찾기 어려운 도구에 불과하다. 하지만 펜타브리드는 AI를 광고 마케팅에 활용하는 새로운 시도를 했다.
펜타브리드가 주최한 이번 프로젝트는 온라인 긱 이코노미 플랫폼 ‘긱허브’와 국내 최대 AI 커뮤니티 ‘AI 코리아 커뮤니티’가 공동으로 기획한 ‘제1회 AI 이미지 콘테스트’다.
이번 첫 대회 스폰서는 양 주관사와 볼빅 어패럴이 참여했다. 대회의 구조는 기업이 원하는 이미지 주제를 출제한 뒤 AI 크리에이터들의 작품을 받는 것이다.
대회가 벌어지는 공고와 커뮤니티 내 전파, AI 생성 작품 게재와 선정, 보도에 걸쳐 일어나는 전 과정은 ‘홍보+바이럴’의 종합 마케팅이 된다. 또한 우수작은 주제 출제사가 활용할 수 있으니 일석삼조다.
존재하지 않던 AI 광고 마케팅 영역을 새로 개척한 펜타브리드의 시도는 AI 활용 마케팅의 마중물로서 위대한 시도다.
펜타브리드 관계자는 “인간이 사물을 도구로 발전시켰던 것처럼 AI를 도구에서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마케팅으로 계속해서 발전시킬 것”이라며 “Fine-Tuning을 통한 AI 맞춤 세팅으로 기업 브랜드 맞춤형 이미지 생산과 마케팅에 활용하는 두 번째 프로젝트가 펜타브리드 안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포부를 밝혔다.
출처 – 펜타포스트 <AI 광고 마케팅이 시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