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OECD 국제 디지털정부 평가 1위… ‘데이터’ 부문 만점
6개 평가 부문 중 4개 1위 달성
30일 행정안전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실시하는 2023년 디지털정부 평가(2023 OECD Digital Government Index)에서 대한민국이 2회 연속 종합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2019년 시작된 디지털정부 평가는 정부·공공부문의 디지털전환 수준을 측정한 지표로 4년마다 평가 결과를 발표한다. 우리 정부는 2019년에 이어 올해도 종합 1위를 달성했다.
이번 평가는 33개 회원국과 5개 비회원국을 대상으로, 6개 부문에 대해 실시됐다.
디지털정부 평가 점수는 1점 만점으로 계산되며 우리 정부는 0.935점으로 2위 덴마크(0.811)와 0.124점 격차를 벌렸다. 지난 2019년(0.742)에는 2위 국가인 영국(0.736)과 불과 0.006점 차이가 났다.
지난 2019년 상위 10개국 중 6곳만 상위 10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지난 2019년 5위였으나, 이번에는 10위 안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데이터, 플랫폼 등서 높은 점수 받아
6개 평가 부문은 ▲디지털 우선 정부(Digital by Design) ▲데이터 기반 정부(Data-driven public sector) ▲플랫폼 정부(Government as a Platform) ▲개방형 정부(Open by Default) ▲국민 주도형 정부(User-Driven) ▲선제적 정부(Proactiveness)다.
이중 우리 정부는 데이터기반 정부, 플랫폼 정부, 개방형 정부, 선제적 정부 4개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나머지 2개 부문에선 2위를 차지했다.
데이터 기반 정부 부문은 정책 과정 전반에 걸친 데이터 활용 능력을 평가한다. 우리 정부는 1점 만점(OECD 평균 0.633점)을 받았다. ‘데이터기반행정법’을 도입하고 ‘데이터통합관리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널리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분석이다.
플랫폼 정부 부문은 정부 데이터를 투명하게 제공하는 정도를 측정한다. 우리 정부는 0.913점(OECD 평균 0.615점)을 받았다. 공공서비스를 민간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서비스 개방’, 공공기관용 소프트웨어에 민간 클라우드 기술을 접목한 ‘민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도입’ 사례 등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행정안전부는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국민 구비서류 제로화 등 정부 서비스를 디지털 전환하고, 행정 절차에 인공지능 기술과 데이터 활용을 늘려 개인화된 맞춤형 공공 서비스를 구현할 계획이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세계가 인정한 디지털정부 선도국으로 앞으로도 편리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