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인사이트님의 아티클 더 보기

UI/UX

이어폰을 꽂고 들어주세요, ASMR

최근 광고나 콘텐츠에서는 시각적으로는 전달할 수 없었던 요소들을 소리로 전달하는 ASMR을 차용한 방식이 눈길을 끌고 있다.

유튜브에서 데일리 메이크업 영상 보는 재미를 붙여 돌아다니다 우연히 한 영상을 보게 됐다. 같은 메이크업 영상이었지만 유난히 그 영상이 눈길을 끌었던 건 유튜버의 손짓부터 다른 메이크업 영상과 달랐기 때문. 유튜버는 스킨이나 로션 뚜껑을 조심스럽게 열고 닫기를 반복하거나 제품 케이스를 탭핑(Tapping, 손으로 조심스럽게 두드리는 것)하고 있었다. 뭐 하는 거지, 볼륨을 제아무리 키워봐도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볼륨을 최대로 키워 귀를 기울이니 그제서야 소리가 들린다. 그럴 만도 했다. 조용조용히 목소리를 속삭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기자가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을 알게 된 건 이때부터다. 처음엔 귀를 간질이는 느낌이 이상해 이게 뭐지 싶었지만 몇몇 영상은 적당한 소음이 필요할 때 유용하게 듣고 있다. 최근 광고나 콘텐츠에서는 시각적으로는 전달할 수 없었던 요소들을 소리로 전달하는 ASMR을 차용한 방식이 눈길을 끌고 있다.

소리로 힐링하는 콘텐츠, ASMR

이후로, 나름의 소리 취향을 찾아다니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알게 된 건 ASMR 영상에도 종류가 천차만별이며 여전히 그 소리의 세계는 무한대라는 거다. 종류는 상황극을 만드는 ‘롤 플레이(Role Play)’, 단어를 반복하거나 입소리를 내는 ‘트리거(Trigger)’ 등이 있다. 이 소리로부터 듣는 이들은 편안한 감정이나 안도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팅글(Tingle)이라 한다.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면, 어릴 적 부모님이 귀를 파주거나 머리를 쓰다듬어줄 때 느낀 나른함 혹은 빗소리나 파도소리와 같은 자연소리를 들으며 느꼈던 안정감을 떠올리면 된다. ASMR은 바람이 부는 소리 혹은 연필 사각거리는 소리 등으로 뇌를 자극해 심리적인 안정을 유도하는 영상을 일컫는다. 보통 ASMR의 효과라 한다면 수면유도 효과를 언급하기는 하지만 그걸 목적으로 듣는 이들은 그리 많진 않다. 기자의 경우처럼 백색소음과 같은 적당한 소음이 필요하다거나 특정인의 목소리에 안도감을 느껴 듣는 경우도 있다. 이젠 유튜브 콘텐츠처럼 일상에서 즐기는 힐링 콘텐츠로 자리 잡으며 마니아 구독층도 급격히 늘고 있다.

이어폰 필수인 광고영상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광고 영상에서 ASMR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물론 기존 음식 광고에서 음식을 먹는 효과음을 넣긴 했지만 이제 소리 그 자체에 집중해 ASMR 영상을 그대로 차용하는 광고도 속속 생겨나고 있다. 현재 광고영상에서는 식음료업계에서 활발하게 ASMR 영상이 만들어지고 있다. 시각적으로는 표현할 수 없었던 맛을 소리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 그중 대표적인 ASMR 광고 영상을 소개한다.

소리로 먹는 ‘리츠 크래커’

ASMR을 많이 듣다 보면 유튜브에 자연스럽게 관련 ASMR 영상으로 자주 등장하는 게 ‘리츠 크래커’ 광고다. 그만큼 ASMR 광고 영상으로는 가장 대표적이다. 해당 광고 영상의 조회 수도 6백만 뷰를 거뜬히 넘겼으니 ASMR의 효과를 톡톡히 본 셈이다. 영상은 ‘이어폰을 사용하면 보다 생동감 있게 ASMR 효과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시작한다. 과자 봉투를 뜯는 소리 더 나아가 크래커의 바삭거리는 효과음을 극대화했다. 광고는 정말 별 게 없었음에도 효과는 엄청났다. 댓글 반응을 보면 알 수 있다. ‘몇 번이나 돌려보는지 모르겠다 더 길게 만들어달라’, ‘스킵 못할 광고다’, ‘’안 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본 사람은 없겠다’, ‘광고 주제에 귀를 호강시킨다’ 등 반응도 재밌다. 더 나아가 ASMR 콘텐츠에서는 이 리츠 광고를 패러디할 정도니 대표적인 ASMR 광고영상이라 할 만하다. 이를 시작으로 최근 많은 음식 광고에서 ‘소리’가 주된 콘텐츠로 등장하고 있다.

이니스프리 ‘나는 한란을 씁니다’

광고 트렌드를 빠르게 적용하는 이니스프리답게 모델 윤아를 필두로 ASMR에 도전했다. ‘나는 한란을 씁니다’ 광고는 ASMR 소리의 매력을 가장 잘 이끌어낸 영상이 아닐까 싶다. 창문 사이로 불어오는 찬 바람소리, 종이 위 연필 사각거리는 소리, 특히나 크림을 바르는 소리는 시각적으로는 전달할 수 없었던 느낌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한 광고가 아닐까 싶다. 크림이 피부에 밀착되는 소리로 마치 수분이 차오르는 듯한 느낌을 그대로 살려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윤아 버전을 유머러스하게 스핀오프(Spin-Off, 자체 광고 패러디) 한 홍진경의 ‘조용한 광고’는 윤아 버전보다 더한 눈길을 끌었다. 모든 ASMR 영상을 보면 기존 광고와는 사뭇 다른 반응을 보인다. 시끄러운 광고소리에 놀랐던 경험이 있는 유저는 조용한 소리를 만족하기도 했고 자신도 모르게 계속해서 반복해 듣고 있는 유저도 있었다. 반응에서도 알 수 있듯, ASMR 영상은 기존 단순 광고영상과는 다르게 구독자가 그 영상 소리 자체를 즐기는 콘텐츠로 인식하고 있다.

배달의민족 ‘오늘은 치킨이 땡긴다’

지난 2월 등장한 배달의민족 ‘오늘은 치킨이 땡긴다’ 광고. 치킨이 튀겨지는 영상만으로도 배달의민족은 그야말로 원망의 소리를 한가득 들었다. ‘너무 한 거 아니냐’, ‘치킨 사러 간다’ 등. 치킨이 튀겨지는 리얼한 소리 때문이었다. 이어 족발, 초밥 등 음식 사진에 소리를 삽입해 보는 이들의 침샘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치킨만 튀겨지는 모습을 담은 해당 광고 영상은 유튜브 기준 4백만 뷰를 기록했다.

ASMR 영상 중에서는 최고 반응과 이슈를 끌어내며 소리 광고 형태를 수면 위로 끌어 올린 광고가 아닐까 싶다. 해당 광고는 영상뿐만 아니라 옥외광고에도 진출하고 있다. 이제 포스터만 봐도 치킨 튀겨지는 환청이 들릴 정도다. 배달의민족 관계자에 따르면 곧 4DX 영화관에서 치킨향과 함께 광고가 온에어 될 예정이라니 이제 정말 오감을 충족할 만한 광고 콘텐츠 시대가 머지않은 듯하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