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동욱님의 아티클 더 보기

라이프

“여긴 어디, 나는 누구?” 주니어, 미드, 시니어 디자이너의 차이점

각 직급별 디자이너가 갖춰야 할 역량

여러분은 자신의 업무 역량을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일반적으로 디자이너는 주니어, 미드, 시니어 이렇게 3단계로 분류됩니다. 여러분은 스스로를 어느 단계로 분류하시겠어요?

회사나 프로젝트 성향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나지만, 각 단계별로 요구하는 공통 역량은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디자인 업계 전문가들이 이야기하는 주니어, 미드, 시니어 디자이너의 특징과 업무를 비교했습니다.

스스로 어디에 속하는지 살펴 보세요. 내 역량을 정확히 아는 게 연봉 협상의 첫 단추라는 것, 잊지 마세요!

질문하는 것이 일인 주니어 디자이너

(사진=Doodle Brands)

주니어 디자이너는 주로 3년 미만의 경력을 가지거나, 아예 디자인 경력이 없는 신입을 지칭합니다. 기본적으로 이 시기는 시각 디자인 기술을 다듬는 데 집중하는 단계입니다.

직접 업무를 찾기보다는 대개 상사의 지시를 받아 일합니다. 프로젝트 전반을 다루기 보다는 명확하고 심플한 업무를 주로 작업하며, 때로는 창의력이 요구되지 않는 단순 반복 작업만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럴수록 틈틈이 제품의 사용성 테스트나 경쟁사 분석 같은 연습을 해보세요. 필요하다면 선배의 도움을 구하고요. 또 엉뚱해 보이는 질문도 부끄러워하지 마세요. 디자인의 기본적인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가 떨어질 수도, 몇몇 작업은 해본 적도 없을 겁니다. 괜찮습니다. 여러분 옆자리에 있을 선배도 그랬거든요.

A/B테스트 예시(자료=HubSpot)

팀장으로 나아가는 미드 디자이너

(사진=shutterstock)

미드 디자이너는 주로 3~5년의 디자인 경력을 가지고 팀장을 앞두고 있는 업무에 능숙해진 디자이너를 지칭합니다. 이제 팀의 작업 중 어느 부분이라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이 있습니다.

디자인 작업 역시 부분적인 자율 권한을 가지고 다소 복잡한 전체적인 제품·서비스의 사용 흐름을 작업하며, 경쟁사 벤치마킹이나 A/B 테스트 등을 스스로 진행합니다. 하지만 주니어 시절과 다르게 자신의 결정과 근거를 모두가 알기 쉽게 설명해야 하죠. 본인의 디자인 결정의 근거를 설명할 수 없거나, 자신의 디자인이 제품과 서비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지 못한다면 미드 디자이너라고 부를 수 없습니다.

미드 디자이너는 상황이나 지침에 따라 소규모 팀을 이끌거나 대규모 팀의 전체 결정에 영향을 줄 때도 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대규모 프로젝트를 홀로 이끌지는 않습니다.

주니어 디자이너가 ‘무엇을’ 디자인을 해야 할지 고민했다면, 미드 디자이너는 ‘어떻게‘ 문제에 접근할지를 중점으로 두고 생각해야 합니다. 미드 디자이너는 이제 더 이상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헤매는 주니어 디자이너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지 고민해야 하는 미드 디자이너가 됐기 때문입니다.

직책별 디자이너의 사고 방식의 고도화(자료=UXbeginner)

팀을 이끄는 시니어 디자이너

(사진=iStock)

시니어 디자이너는 5~10년의 경력을 가지고 후배나 동료의 작업물에 피드백을 제시할 만큼 디자인에 통달한 단계입니다. 이제 디자인 작업은 매일 아침 커피를 마시는 것처럼 일상이 됐죠.

시니어 디자이너는 업무에 있어 완전한 자율 권한을 보장 받습니다. 그만큼 자신만의 업무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갖고 있으며, 홀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은 물론 회사에 먼저 프로젝트를 제안하기도 합니다.

시니어 디자이너는 단순한 디자인 역량뿐 아니라 정확한 업무 지시 능력, 프레젠테이션 능력 등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역량도 요구되는 시기입니다.

또한 시니어 디자이너는 주니어·미드 디자이너 시절과 다르게 한 번에 하나의 프로젝트만 담당하지 않습니다. 업무가 바쁠 때에는 하루에도 여러 개의 복잡한 프로젝트를 동시에 처리하게 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프로젝트에서 책임져야 할 범위 역시 더욱 커지게 됩니다.

앞서 주니어·미드 디자이너가 각각 무엇을 디자인하고,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할지 고민했다면, 시니어 디자이너는 자신과 팀 나아가 회사가 ‘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하는지 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시니어 디자이너는 단순하게 팀에서 가장 디자인을 잘 하는 사람이 아니라, 팀을 이끌고 팀원을 관리하는 직책이기 때문입니다.

주니어, 미드, 시니어 디자이너의 담당 범위(자료=UXbeginner)

산업 전반에 걸쳐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디자인 업계에서 자신의 경력 수준을 파악하고, 객관적인 시선으로 스스로를 평가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닙니다. 하지만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이 글이 여러분이 좀 더 스스로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자기 개발을 결심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