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에 바로 써먹는 미드저니② 구도 잡는 법
아트의 기본기는 변하지 않습니다
챗GPT, 막상 써보려니 감이 안 잡힌다고요? 최근 길벗에서 일반인을 위한 생성형 AI 실용서 두 권을 냈습니다. <AI 툴킷>과 <AI 원더랜드>인데요. 디지털 인사이트 독자를 위해 광고, 마케팅, 디자인 실무자가 참고하면 좋을 내용을 정리해 4주에 걸쳐 소개합니다.
<실무자를 위한 생성형 AI 콘텐츠>
1. “챗GPT와 미드저니, 딱 한번이라도 제대로 써보셨나요?”(저자 공동 인터뷰)
2. 직장인을 위한 AI 실무① 광고 영상 만들기
3. 직장인을 위한 AI 실무② IR 피치덱 만들기
4. 실무에 바로 써먹는 미드저니① 필수 프롬프트
5. 실무에 바로 써먹는 미드저니② 구도 잡기(현재글)
구도란 작품 내에서 아이디어, 감정, 아름다움 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요소들을 의도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진을 예로 들면 사진의 주인공인 피사체, 배경, 조명, 물체 등을 배치하는 것이 되겠지요. 다시 말해 구도는 이미지의 시각적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도는 시각 예술의 기본 개념으로 대칭 구도, 비대칭 구도 등 기본 구도 기법을 이해하면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대칭 구도
대칭 구도는 표현하기 가장 쉬운 구도로, 피사체를 화면의 중앙에 배치합니다. 균형과 안정감을 전달할 수 있어 초상화 혹은 대칭을 이루는 장면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강렬함과 권위를 보여주며 인물 사진의 경우 직접적으로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대칭 구도의 이미지를 생성할 때는 대칭이라는 뜻의 [symmetry], [symmetrical]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다음 프롬프트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여 피사체를 정중앙에 배치한 이미지가 어떠한 분위기를 만들어 내는지 관찰해보세요.
비대칭 구도와 삼분할 법칙
비대칭 구도는 피사체가 이미지의 중앙에서 벗어나도록 의도적으로 배치한 구도입니다. 비대칭 구도 중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삼분할 법칙입니다. 삼분할 법칙이 적용된 이미지는 균형감과 안정감을 주며, 이를 반영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때는 삼분할 법칙이라는 뜻의 [rule of thirds]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다양한 피사체와 배경으로 비대칭 구도의 이미지가 대칭 구도와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보세요.
TIP 훌륭한 구도는 법칙을 따르는 것 이상의 효과를 만들어 냅니다.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나 감정을 강화할 수 있고, 시선을 집중시키고 장면의 핵심 요소를 강조하여 더욱 인상적이고 기억에 남는 이미지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풍경 사진에 삼분할 법칙 적용하기
풍경을 표현할 때는 수평선의 위치가 매우 중요합니다. 수평선을 아래쪽 1/3 선에 맞추면 공간 감과 하늘의 느낌이 강조되어 개방감과 장엄함을 더합니다. 실습을 통해 이미지를 만들어 봅시다. 앞서 설명한 대로 삼분할 법칙의 키워드인 [rule of thirds]와 지평선 혹은 수평선이라는 뜻의 [horizon] 키워드를 프롬프트에 반영합니다.
TIP 예제 프롬프트 외에도 하루 중 서로 다른 시간이나 날씨 조건으로 실험해 보며 이미지의 분위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인물 표현에 삼분할 법칙 적용하기
초상화에서 눈은 종종 영혼의 창으로 여겨집니다. 피사체의 눈을 위쪽 1/3 선 혹은 교차점에 배치하면 피사체와 보는 사람 사이에 강렬한 감정적 연결고리를 만들어 줍니다. 인물 표현 실습을 해 보겠습니다. 이때, 너무 구체적으로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것보다 조금 넓은 범위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고르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양한 배치 속에서 피사체와 어떠한 감정적 교감이 이루어지는지 잘 살펴보세요.
TIP 삼분할 법칙은 사람들이 이미지를 바라볼 때 시선을 움직이는 자연스러운 본능을 활용합니다. 주요한 요소들을 전략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이미지 안에서 더욱 설득력 있는 이야기를 만들 수 있죠. 균형미를 만듦과 동시에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더욱 깊은 공감을 불러 일으킵니다.
리딩 라인에 대한 이해
이미지 안의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인 선들을 활용하여 보는 이의 시선을 특정 지점으로 자연스럽게 이끄는 것을 리딩 라인(LeadingLines)이라고 합니다. 이 선들은 직선, 곡선, 대각선, 심지어 지그재그 형태일 수도 있지만, 주된 목적은 이미지에 깊이와 원근감을 통한 입체감을 가미하는 것입니다.
리딩 라인은 단순한 ‘선’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보는 사람의 시선을 장면의 주제로 강하게 이끄는 열차의 선로로써, 시선을 따라 재미있는 여정을 만들어 줍니다. 이미지에 리딩 라인을 활용하면 장면이 인식되는 방식에 큰 영향을 주며 평온함, 흥분, 신비감, 나아가는 느낌 등의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도로 또는 길의 리딩
라인리딩 라인으로 활용되는 고전적인 예시로는 멀리까지 뻗어나가는 도로나 길이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리딩 라인은 단순히 보는 사람의 시선을 특정한 지점으로 끌어들일 뿐만 아니라 여정, 모험, 또는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킵니다. 리딩 라인을 적용하기 위해 [leadingline composition] 키워드를 포함하여 프롬프트를 작성하겠습니다.
TIP 도로의 형태를 직선, 곡선, 지그재그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이미지 속 깊이감과 기대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해보세요.
건축물의 리딩 라인
건축물은 리딩 라인으로 활용하기에 정말 좋은 소재입니다. 건물을 구성하고 있는 기둥, 모서리, 계단 등은 사람의 시선을 이끌어 주는 역할을 아주 잘 수행하며, 건물의 크기와 장엄함을 강조하거나 특정한 방향으로 관심을 모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 방향으로 실험하며 서로 다른 선들이 이미지의 분위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봅시다.
TIP 리딩 라인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본능, 눈으로 특정한 경로를 따라가는 경향성을 활용합니다. 이미지를 가로지르는 선로를 만들어 구도를 더욱 역동적이고 매력적으로 만들며, 이미지에 깊이와 방향성, 의미를 더합니다.
※ 해당 콘텐츠는 <AI 원더랜드> 원문을 일부 발췌한 내용으로, 길벗과의 제휴를 통해 제작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