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를 위한 예술 서울아트쇼 2022
참신한 기획과 과감한 운영으로 감동을 전달하는 아트페어
‘코리아 아트마켓 2022’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미술 시장의 규모는 2018~2020년 약 3,767억원에서 9,223억여 원으로 성장하며 2021년 3분기 정점을 찍었다. 이제는 1조원 돌파를 내다보고 있다. 커지는 미술 시장 규모에서도 아트페어의 점유율 증가가 돋보인다. 갤러리 위주였던 한국 미술시장에서 아트페어 점유율이 급증하며 2021년 갤러리(48%)·경매사(35%)·아트페어(15%)의 시장 점유율을 보였다. 모두를 위한 예술로 감동과 가치를 전달하는 아트페어 ‘서울아트쇼 2022(Seoul Art Show 2022)’가 코엑스 A홀에서 개최됐다.
글. 김성지 기자 jerome@ditoday.com
사진. 서울아트쇼 운영위원회 제공
예술은 보는 사람에 따라 그 속에 담긴 가치나 의미가 변하기도 하기에 정답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예술을 느끼기보다 ‘정답 같은 의미 파악’에 집중하며 예술은 어렵다는 인식이 생겼다. 이에 대해 서울아트쇼 운영위원회는 예술은 소유의 전유물이 아닌 모두를 위한 것이라 생각하며, 2012년 코엑스 A홀에서 첫 번째 서울아트쇼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를 맞이한 서울아트쇼 2022가 닷새간의 대장정을 마쳤다. 이번 행사는 국내외 150여 개 유수 갤러리의 부스전과 한국미술의 오리지널리티 특별전 등 풍부한 콘텐츠로 구성됐다. 또한 앤디 워홀(Andy Warhol)·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백남준·이우환·이건용 등 세계적 작가의 작품을 선보이며 전시회 품격을 높였다.
▲역사 속 인물들이 살아서 말을 거는 듯 생생하게 그려내는 극사실의 대가 ‘강형구’ ▲한국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자 아방가르드 아티스트 다다이스트 ‘김구림’ ▲한국의 1세대 설치미술가로 기존에 대한 거부와 도전으로 세상을 거꾸로 보고 거꾸로 생각한 한국 전위미술의 선구자 ‘이승택’ ▲동양의 전위미술 운동인 모노하를 이끌며 현대미술 동향을 주도한 점·선·여백의 예술 ‘이우환’ ▲한국을 대표하는 설치미술가로 ‘방황하는 혹성들 속의 토우-그 한국인의 정신’으로 베네치아 비엔날레 특별상을 수상한 ‘전수천’ 등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한 작가들의 한국 미술의 정수를 보여줬다.
참신한 기획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었고, 유연하게 운영하며 매년 많은 관람객을 불러 모았다. 그중에서도 한국미술의 우수성과 독창성을 알리는 특별전은 타 아트페어와의 차별화 포인트였다. 관람객과 함께 더욱 폭넓은 문화를 향유하며 인사이트를 공유했고, 서울아트쇼는 매년 크리스마스를 대표하는 미술 축제로 자리하게 됐다.
예술경영지원센터의 보고서 ‘한국MZ세대 미술품 구매 연구’에 따르면 MZ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국내 갤러리나 온라인 경매이용보다 아트페어 관람 비중이 높았다. 자신의 취향과 가치관이 뚜렷한 MZ세대와 다양한 가치를 지닌 예술 작품은 매력적이었고, 이를 콜렉팅하며 플렉스하는 취미가 시작되고 있다. 예술작품의 특성상 오프라인에서 작품을 봐야 하기에 MZ세대는 한번에 다양한 작품을 볼 수 있는 아트페어로 향했다. 이러한 흐름은 이번 전시회에서도 이어졌다. 서울아트쇼는 한국 미술시장의 발전에 기여하며 새로운 아트 플랫폼으로의 도약에 나섰다.
따스함을 전달하는 갤러리블라썸
갤러리블라썸은 2018년 4월 첫걸음을 내디딘 후, 여러 장르의 미술작품과 예술문화를 소개하며 지역문화예술을 성장시키며 소통하고 있다. 역량 있는 작가로 구성된 개관전을 시작으로, 초대개인전·여러 그룹전·신진작가 기획전을 전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장르의 작가와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갤러리블라썸의 작품을 만나면 영하의 날씨에서도 따스함을 느낄 수 있다. 김선영 작가는 항상 봄이다. 그의 작품에는 활짝 핀 꽃과 풍성한 나뭇잎이 이를 말해준다. 겹겹이 쌓인 나뭇잎은 입체감과 풍요로움을 전달하며 알록달록한 작품을 보다 보면 일상의 피로가 사라지는 듯하다. 동심을 전달하는 황혜진 작가의 작품을 유심히 보면, 모든 동물이 짝을 이루고 있다. 이곳은 블라썸(Blossom)이라는 이름처럼 언제나 봄이다.
색감과 입체감을 넘나드는 이곳에서도 더욱 돋보이는 작품이 있다. 최명숙 작가는 갤러리블라썸의 원장으로, 긁어내고 찍어낸 판화기법과 바늘로 꿰매는 작업을 통해 을 탄생시켰다. 작가가 바라는 마음을 달항아리의 형상으로 표현했고, 그 속에 산을 담았다. 마치 달항아리 속에 산이 있는 것 같기도, 겉면에 산이 비춰진 것 같기도 하다.
재능의 캘래버, 갤러리일호
열린 문화공간을 위해 설립된 갤러리일호는 전시를 목적으로 기획·초대를 하며, 근현대미술을 바탕으로 회화·조각·설치·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예술 부문을 아우르는 전시 공간을 지향한다. 이러한 목표를 가지고 미술 문화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재능과 독창성을 가진 신진 작가를 발굴해 더욱 많은 기회를 제공해 작가의 발전과 상업적 가능성을 개화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도 갤러리일호가 진행했던 다양한 기획전을 공개했다. 일상 속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전달하기 위해 ‘소확행展 Seoson2’를 선뵀다. 물속에 비친 모습처럼 이목구비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인물이 그려진 작품이 있다. 김광현 작가는 이목구비 사이의 거리를 통해 현대인의 태생적 고독을 묘사했다. 또한 김시현 작가는 한국적 감성과 극사실적인 표현을 조합해 동양의 신비로움을 표현했다. 이 외에도 최영욱·김소형·김세한 작가까지 총 5명의 작가가 작품으로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