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동욱님의 아티클 더 보기

뉴스

딥엘 차세대 LLM 도입… 챗GPT·구글 번역 뛰어넘겠다

AI 기술 발전과 동시에 업계 표준 번역 품질 성능 마련

(자료=딥엘)

글로벌 언어 AI 기업 딥엘(DeepL)이 자사 번역서비스에 차세대(Next-gen) 언어모델을 도입했다고 18일 밝혔다. 

딥엘이 새롭게 번역서비스에 적용한 차세대 언어 모델은 번역과 글쓰기 교정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고도의 거대언어모델(LLM)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실제 딥엘은 ‘언어에 특화된 성능’ ‘번역을 위해 수집한 독점 데이터’ ‘언어 전문가의 모델 튜터링’ 을 주요 특징으로 내세웠다.

대표적으로 언어에 특화된 LLM으로 실제 사용하는 수준의 번역 및 작문을 제공하는 동시에 LLM 고질적인 문제인 ‘환각(Hallucination)’ 현상과 오역 리스크를 줄였다는 것이 딥엘의 설명이다. 

또한 딥엘은 공용 데이터를 단순 학습하는 범용 모델과는 달리, 수천 명의 언어 전문가가 직접 언어 모델을 튜터링하고, 콘텐츠 제작 및 번역만을 위해 7년 이상 수집한 독점 데이터를 활용해 모델 학습을 진행하는 등 품질 개선 및 유지를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딥엘은 신규 솔루션 품질에 자체 조사 결과도 공개했다. 조사 결과 언어 전문가 전문가들은 블라인드 테스트에서 딥엘 솔루션 번역 결과를 구글 번역 대비 1.3배, 챗GPT-4 대비 1.7배, 마이크로소프트 대비 2.3배 이상 선호한 것으로 답변 하는 등 신규 솔루션이 AI 번역 품질에 대한 기준을 크게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야렉 쿠틸로브스키(Jarek Kutylowski) 딥엘 창업자 겸 CEO는 “이번 발표는 딥엘의 기업용 LLM 기반 언어 AI 솔루션 여정의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면서 지속적인 품질 및 사용성 향상을 예고했다.

또한 스테판 메스켄(Stefan Mesken) 딥엘 리서치 담당 부사장(VP Research)은 “전문 번역가가 딥엘의 신규 모델을 기존 LLM 및 경쟁사 모델과 같이 실험해 본 결과, 딥엘의 신규 모델로 번역한 결과와 동일한 수준의 번역을 얻으려면 구글 번역 사용 시 2배가량, 챗GPT 사용 시 3배가량 더 많은 수정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더불어 “이는 딥엘의 솔루션이 다량의 문서를 번역해야 하는 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직원들은 더 중요한 일에 시간을 할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덧붙이며 강조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