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트렌드를 얻을 수 있는 디자인 축제 ‘SDF 2021’
디지털 인사이트.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에 채널 고정!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기, 어느 가족은 TV 앞에 모여 연말 시상식을 보느라 시간 가는 줄 모른다. ‘올해 대상은 누구에게 돌아갈까?’ ‘어떤 방송이 재밌었을까?’ 담소 나누며 지난 한 해를 복귀한다. 이렇게 1년을 돌아보듯, 올해 디자인 산업도 정리할 수 있을까? ‘2021년 어떤 디자이너가 등장했고 어떤 디자인이 사랑받았으며, 2022년 세상을 더욱 빛나게 할 디자인은 무엇일까?’ 그 대답은 올 연말을 장식할 디자인 전시회에 묻는 수밖에.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로 채널을 돌렸다.
글. 신주희 기자 hikari@websmedia.co.kr
디자인 전시의 안방마님
제 20회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SDF)
2002년 처음 문을 연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Seoul Design Festival, 이하 SDF)은 디자인 전문 전시로, 디자이너 및 다양한 기업과 함께 국내외 디자인 동향을 살피며 지난 역사를 써내려 왔다. 국내 디자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신진 디자이너의 가능성을 일깨우며, 현재 국내 디자인 산업을 선도하는 대표적인 디자인 전시로 거듭났다.
올해로 20회를 맞이한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 2021은 12월 22일부터 26일까지 5일간 삼성동 코엑스 C홀에서 개최됐으며, 254개 브랜드와 510개 부스가 참여했다. 지난 19년간 총 2,074개의 브랜드 프로모션과 5,178여명의 신진 디자이너 배출, 누적 관람객 114만명을 기록한 만큼 이번 역시 수많은 기업·디자이너·방문객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가능성과 다양함을 담았다
D의 변주로 특별해진 전시회
이번 SDF는 더욱 특별했다. SDF 중 철자 D의 다양한 변주를 시도해 기존 로고 디자인을 리뉴얼했다. 고정된 하나의 주제로 디자인을 말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매체에서 다양한 디자인을 선보이기 위함이다. 그 뜻에 맞춰 ‘Design for Everyday’를 전시 주제로 정하고, 일상에서 만나는 디자인의 가능성과 다양성을 조망했다. 그래픽·패브릭·공간·가구·실크스크린·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아트디렉터 ‘일상의실천’과 컬래버레이션으로, 일상 속 디자인에 대한 색다른 경험을 선사했다.
오랜 경험이 축적된 전시회라는 것을 증명하는 듯, 전시장 메인 입구에서 맞닥뜨리는 미디어 아트월은 압도적 비주얼을 자랑한다. 그 뒤로 이어지는 각 전시 공간에서 본격적으로 SDF 기획전을 만날 수 있다. 먼저, C홀 오른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에서는 차세대 디자이너 40인의 셀프 브랜딩 전시를 선보였다. 작품을 넘어 예술을 표현하는 젊은 디자이너의 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전시홀 정중앙에 자리한 현대자동차의 ‘지속 가능 디자인 라운지’도 주목할만했다. 현대자동차는 자동차와 패션이란 이색 협업으로, 지속 가능한 라이프 스타일을 만드는 프로젝트 ‘리스타일(Re-Style)’을 선보였다. ‘제품 디자인 코너’에서는 오뚜기·탐방(tambang)·87MM·키뮤스튜디오 등 지난 활동과 앞으로의 계획을 선보이며, 굿즈, 설문, 추첨 등 다양한 콘텐츠로 방문객을 사로잡았다. 그 밖에, 역대 영 디자이너 20인·올해 주목해야 할 일러스트레이터·세계 디자이너 기획전 등 다양한 전시 프로그램으로 다채로운 축제 분위기를 완성했다.
디지털 인사이트가 직접 만난
디자인 브랜드
제품·그래픽·패션·엔터테인먼트·IT·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한 분야의 300여개 브랜드 가운데, 디지털 영역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브랜드가 눈길을 끌었다. 새로운 폰트를 출시한 87MM, 특별한 디자이너와 함께 세상의 경계를 허무는 키뮤스튜디오를 방문했다.
가장 자연스러운 글꼴의 비밀
폰트 황금비는 8:7 ‘87MM’
‘패션 브랜드가 어떻게 폰트를 만들었을까?’ 그 의문도 잠시, 이들의 톡톡 튀는 발상에 납득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2011년 설립한 87MM(팔칠엠엠)은 올해 10주년을 맞이해 폰트 ‘팔칠엠엠 일상체’와 굿즈를 출시했다. 한국 스트릿 브랜드 최초 제작된 ‘팔칠엠엠 일상체’는 ‘팔칠엠엠 일상 보통’과 ‘팔칠엠엠 일상 기울임’으로 구성됐다. 부스를 가득 메운 ‘팔칠엠엠 일상 보통’은 87MM의 로고에서 탄생한 폰트로, 8과 7을 각각 비율과 각도로 계산, 8:7 비율로 글자 면을 설계, 자음 크기를 조정했다. 이 폰트는 일상에서 가장 많이 보고 쓰는 본문용 민부리 글꼴로 다양한 환경에서 가독성과 호환성이 뛰어나다. 또한 ‘팔칠엠엠 일상 기울임’은 글씨를 옆으로 쓸 때 나타나는 손글씨의 특징을 관찰해, ‘팔칠엠엠 일상 보통’을 8도 기울여 일상 속에 위트를 표현했다. 기울임체로 디자인한 최초 본문용 한글 글꼴인 이 폰트에서 87MM만의 센스와 감각을 느낄 수 있다.
특별한 디자이너가 만든 특별한 굿즈
‘키뮤스튜디오’
키뮤스튜디오는 디자인으로 세상의 경계를 허무는 브랜드다. 재능 있는 발달장애인이 키뮤의 특별한 디자이너가 돼 전시·커머스·B2B 컬래버레이션 등 다양한 영역에서 아트워크 콘텐츠를 제작한다. 이번 부스 주제는 <Merry Smile>로,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듬뿍 담아 아트월과 크리스마스 특별 패키지 상품을 선보였다. 독특한 색감과 연말 분위기가 물씬 나는 굿즈 덕분에, 부스는 많은 사람들로 북적였다. 특히, 기자의 이목을 끈 작품은 <언박싱> <응답하라 1976> <브루클린 호텔> <브랜뉴데이> <사과해> 등 신작 5품, ‘XYZ by KIMU’와 협업한 A3 사이즈의 아트 포스터였다. 인간에게 주어진 숙제를 해결하기 위한 키뮤의 노력이 엿보이는 이번 포스터는 지속 가능 발전 목표(SDGs) 중 13번(기후변화 대응)과 14번(해양생태계 보전), 그리고 17번(글로벌 파트너십)을 달성하기 위해 제작됐다.
우리는 살면서 많은 축제를 경험한다. 주체자로서 직접 부스를 운영하기도 하고, 방문객으로서 다양한 이벤트를 경험하기도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문화가 확산됐지만, 대중은 여전히 오프라인 공간을 원한다. 부스를 운영하기까지 겪은 노력과 고생은 대중에게 즐거움과 만족을 선물하고 그것은 다시 뿌듯함으로 돌아오기에, 우리는 지금도 축제를 찾고 있는 게 아닐까?
축제에서는 새로운 만남, 인연이 시작되기 마련이다. 디지털 인사이트도 수많은 부스를 돌며, 숨겨진 원석들을 만날 수 있었다. 새로운 도약과 성장을 앞둔 영 디자이너의 감각을 엿볼 수 있었고, 지난 1년간 얼마나 다양한 디자인이 일상에 스며들었는지 체감할 수 있었다. 내적 박수가 끝나고 돌아갈 시간이 됐다. 제야의 종소리는 울렸다. 2022년은 우리 삶이 더 나은 하루, 더 나은 일상으로 디자인되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