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아영님의 아티클 더 보기

뉴스 마케팅

대한민국 ONLYONE 생활문화서비스 플랫폼 구현

CJ는 영화, 음악, 음식 등 우리의 일상 속 다양한 문화생활을 책임지고 있다. CJ ONE 모바일 앱 리뉴얼에서 가장 중점이 됐던 것은 우리가 자주 쓰는 만큼 보다 효율적이고 쓸모 있는 앱을 만드는 것이었다. 실용성을 중심으로 디자인된 CJ ONE 모바일 앱 구축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00. 때로는 기술로, 때로는 콘텐츠로 브랜드를 전달하다
01. 내 손안의 디지털머니, 하나멤버스
02. 연재부터 관리까지 내 손으로! 블라이스
03. 오늘의 일상을 브리핑하다, 롯데카드 라이프 플랫폼 리뉴얼
04. 대한민국 ONLYONE 생활문화서비스 플랫폼 구현, CJ ONE 모바일 앱 리뉴얼
05. 2019 글로벌 모바일 UX 트렌드, 라이트브레인
06. 텍스트 기반 콘텐츠의 독자 경험, 와이어링크 콘텐츠랩


정리와 취향 수집을 목표로

디자인 리뉴얼 전 바이널씨는 CJ ONE 모바일 앱을 정리하고 라이프 스타일을 기반으로 디자인 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기존의 CJ ONE 모바일 앱은 CJ의 다양한 브랜드만큼 브랜드 정보나 이벤트, 콘텐츠들이 무분별하게 놓여져 있었다. 이것을 브랜드에 따라 정리하고 브랜드에 맞게 컬러를 추출해 통일성을 주고자 했다.

또한 나이대 별, 정보 별로 라이프 스타일에 맞게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개인정보와 같은 정량적 데이터와 취향 수집과 같은 정성적 데이터를 나눈 뒤 정보 수집을 진행했다. 디자인의 경우에도 소비자가 느끼기에 기업의 이익이 중심이 되는 것이 아닌 자신의 취향이 중심이 되도록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리뉴얼 작업을 진행했다.

서비스, UI·UX, 콘텐츠를 중심으로 리뉴얼

CJ의 앱의 경우 서비스와 기능이 노후화 된 상태였다. 홈페이지와 앱이 똑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서비스 소개, 멤버십 등의 기능을 CJ ONE 앱에서 모두 소화하고 있어 앱에 많은 정보가 담겨 있었다. 또한 서비스가 추가될 때마다 디자인이 추가돼 UI 역시 통일성이 없는 상태였다. 따라서 세 가지 전략을 중심으로 앱을 리뉴얼했다. 서비스의 경우 ‘Ondemand’ 를 내세워 온·오프라인의 통합적인 경험을 주고자 했다. UI·UX의 경우 ‘Simple & Easy’를 큰 목표로 잡고 모바일에 맞는 디자인 작업을 하고자 했으며 콘텐츠의 경우에는 ‘Hub & Spoke’에 맞게 사용자와 브랜드를 연계해주고 경험을 확장시켜주는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했다.

CJ ONE만의 차별화를 위해

디자인은 CJ ONE 캐릭터 원스터와 CJ ONE의 로고, CJ ONE 카드 디자인을 중심으로 작업을 진행했다. 그리고 CJ ONE을 내세우는 것이 아닌 브랜드로 돌아가 앱이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인을 진행했다.

디자인 키워드는 ‘Smart & Clear’, ‘Simple & Easy’, ‘Trend & Fresh’이었다. 메인 화면 구성에서는 ‘Trend & Fresh’를 적용해 바코드, 광고, 콘텐츠와 같이 필요한 정보를 읽기 쉽게 보여줬다. 사람들이 빠르고 쉽게 적립할 수 있도록 하단에 바코드를 배치했고 바코드와 함께 광고를 배치해 자연스럽게 광고와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했다. 그리고 ‘Simple & Easy’ 키워드에 맞게 콘텐츠를 읽기 쉽고 필요한 정보만 주는 레이아웃을 사용했다.

또한 홈 화면은 ‘Smart & Clear’에 기반해 이미지 한 장만 넣으면 다양한 콘텐츠들이 제공되도록 CMS시스템을 활용해 구성했다. 이로써 직접 이미지를 제작하는 것이 아닌 이미지만 넣으면 쉽게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CJ ONE만의 차별화 된 서비스를 위해 ONE.THE.LAND 서비스를 가져가고자 했다. CJ ONE 브랜드를 상징하는 캐릭터 원스터를 적극 활용해 하나의 게임처럼 만들어 사용자들에게 재미를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