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 ‘거래 희망 장소’ 순위 공개… 중고거래 1위 장소는 어디?
연령대별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선호 장소 흥미로워
지역생활 커뮤니티 당근이 이용자의 거래 희망 장소 데이터를 분석, 전국 중고거래로 가장 많이 연결된 장소 15곳을 11일 공개했다.
데이터 분석은 거래 희망 장소 기능이 도입된 2022년 11월부터 올해 11월까지의 데이터가 종합 분석됐으며, 조사 결과 당근 이용자는 지역과 연령대를 불문하고 생활권 내 공공장소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동인구가 많아 안전하고 이동이 편리한 지하철역을 선택한 비율은 약 34%로 가장 높았다. 이어서 2위 아파트(24%), 3위 편의점(10%), 4위 학교, 5위 마트, 6위 공원 등이 순위권에 올랐다. 가이드라인 등을 통해 공공건물 및 시설을 통한 대면 거래를 장려해온 만큼동네 주민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장소가 선택을 받은 것이 회사의 설명이다.
또한 조사 결과에서는 연령대별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인기 거래 장소 순위가 다른 점도 눈에 띈다. 먼저 10대는 학교, 도서관 등 학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장소를 주로 찾았고, 등·하굣길에 접하기 쉬운 버스 정류장도 순위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이 주로 분포된 20대는 이동이 잦은만큼 지하철역이 상위권을 기록했다. 특히, 전 연령층 중에서 ‘대학교’를 선호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같은 지역 내 학교 학생 간 거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30대 이상은 아파트, 지하철 등 전체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장소 외에도 연령대별 특징과 밀접한 동네의 다양한 공공장소를 많이 찾았다. 30대는 관공서나 우체국을, 4050세대는 교회, 병원, 은행, 약국 등에 대한 선호도가 타 연령층 대비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동네 이웃 간 더욱 편리한 직거래 환경 조성을 위해 도입된 ‘거래 희망 장소’ 기능은 중고거래 게시글 작성 단계에서 거래 희망 장소를 지도에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채팅을 통해 거래 장소를 일일이 묻고 답하지 않아도 돼, 거래자 간 커뮤니케이션 효율과 거래 편의성을 개선하는 기능이다.
김결 당근 중고거래실 리더는 “순위에 오른 장소는 모두 동네에서 쉽게 볼 수 있고 이웃 주민이라면 누구나 알 법한 장소”라며, “오랜 시간 이용자 캠페인을 통해 전파해온 결과 공공장소에서의 거래 문화가 완전히 정착됐다”고 전했다. 이어 “이용자가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에서 직거래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