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광고, AI가 만들었다?
광고 제작, 생산 공정 등 다양한 경영 현장에 AI 적용
농심은 최근 AI를 기반으로 제작한 데이플러스 신규 광고를 선보였다고 8일 밝혔다.
농심이 지난 4월 출시한 ‘데이플러스 포스트바이오틱스’의 마케팅 활성화를 위해 AI를 기반으로 제작한 신규 광고를 선보였다고 8일 밝혔다. 데이플러스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수분 충전을 위한 제로슈거 이온음료다.
이번 광고는 프롬프트를 활용해 AI 이미지를 생성하고 만들어진 이미지를 AI로 영상화한 것이다. 또한 영상재생 속도를 1.5배 빠르게 하는 스페드업 기술을 적용해 짧은 시간에 광고내용을 전달한다.
농심 관계자는 “제품의 주요 타깃인 20·30대에게 관심도가 높은 AI 활용 광고전개 방식을 처음으로 적용했다”고 전했다.
한편 농심은 최근 다양한 경영 현장에서 AI를 통한 미래지향적 기업문화 조성과 업무환경 효율화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부터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AI를 이용한 콘텐츠 공모전’을 열어 올해 4월에는 총 642건이 접수되기도 했다.
또한 농심은 AI 이미지 분석 시스템을 통해 생산 공정 중 이물질과 제품 포장·인쇄 불량을 감지하는 검사장치를 운영하고 있다. 생성형 AI와 OCR(광학문자인식) 기술을 활용해 영업 현장 활동 간 발생한 영수증을 사진으로 촬영해 전표 처리하는 시스템도 시범 운영하고 있다.
회사 규정이나 식품안전법령을 통합해 정보를 추출하는 사내 생성형 AI 챗봇도 자체 개발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