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국내 디지털 콘텐츠 생태계 위한 ‘K-reate’ 계획 밝혀
– 향후 1년간 가격 인하 등 디지털 콘텐츠 앱 개발사 및 유저 겨냥 혜택 제공
– 인앱결제 강제와 30% 수수료 방안에 비판 일자 급한 불 끄자는 측면 강해
– 구글, 2019년 국내 앱 마켓서 6조원 가까운 매출… 순익 1조 8,000억원 중 1,150억원 투자
구글이 한국 디지털 콘텐츠 생태계 발전을 위해 향후 1년간 1,150억 원(1억 달러) 규모의 ‘K-reate’(크리에이트)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구글은 29일 오전, 구글 미트 화상회의에서 “크리에이트 프로그램은 한국 디지털 콘텐츠 앱 개발사의 창의성과 발전 가능성을 응원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앱 생태계가 한층 더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크리에이트 프로그램으로 웹툰, 웹소설, 음악 스트리밍, 이북(e-Book) 등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발사에 대한 지원은 물론 서비스를 사용하는 유저에게 가격 인하를 포함한 광범위한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글플레이는 ‘K-유저’가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보다 폭넓게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마케팅 캠페인을 펼칠 예정이다. 웹툰, 웹소설, 음원 스트리밍 등에 대한 할인 혜택 및 다양한 구글플레이 포인트 적립 프로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크리에이트 프로그램은 개발사 지원 프로그램이었던 ‘구글플레이 인디 게임 페스티벌’, ‘창구 프로그램’에서 더 나아가 유저까지 실질적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대폭 확대했다.
‘K-개발사’와 ‘K-창작자’를 위한 지원 또한 병행한다. 중소 규모의 웹소설, 웹툰, 이북 유통사를 포함해 디지털 콘텐츠 앱 개발사를 대상으로 재정 지원 뿐 아니라 글로벌 진출 관련 컨설팅, 글로벌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 ‘K-콘텐츠’ 산업의 저변 확대 및 콘텐츠 다양성을 도모할 계획이다.
퍼니마 코치카(Purnima Kochikar) 구글플레이 글로벌 비즈니스 개발 총괄은 “대한민국은 왓챠, 토도수학 등 전 세계로 뻗어나가는 자랑스러운 디지털 콘텐츠 개발사를 배출한 진정한 혁신 국가”라며 “구글은 크리에이트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디지털 콘텐츠 앱 개발사가 안드로이드 생태계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유저 또한 훌륭한 디지털 콘텐츠와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구글의 이 같은 조치는 내년부터 구글이 구글플레이 모든 앱에 인앱결제를 강제하고 수수료 30%를 물리는 당근책이라는 의견이 다수다. 기자회견이 당일 갑작스레 이뤄진 측면도 이 같은 상황을 방증한다.
구글은 신규 앱은 내년 1월 20일, 기존 앱은 내년 9월 30일까지 유예기간을 주기로 했다. 이 같은 구글의 인앱결제 강제와 수수료 30%에 업계와 정치권의 비판이 일었다.
한국모바일산업연합회가 발간한 ‘2019 모바일 콘텐츠 산업 현황 실태조사’를 보면 국내 앱 마켓별 매출액 현황에서 구글은 지난해 매출로 6억원에 가까운 5조 9996억원을 벌었다. 통상 구글이 매출의 30%를 가져간다고 가정할 때 총 1조 8,000억원의 수익 중 1,150억원을 웹툰, 웹소설, 음악 스트리밍에 투자하기로 했다. 이것도 이 분야가 이번에 새롭게 30%의 수수료가 붙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