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벤처스의 스프린트를 적용한 코크리에이션 워크샵
구글벤처스 스프린트는 참여자들 모두가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주인 의식을 공유해 원활한 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좋은 아이디어를 발견하는 것은 어렵다. 발견한다고 해도 아이디어를 서비스화해 구현하기 위해선, 이해관계자와의 수많은 회의와 논의를 거쳐야 한다. 우여곡절 끝에 시장에서 서비스가 실행됐을 때의 성공 여부 또한 불투명하다. 구글벤처스 스프린트는 참여자들 모두가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주인 의식을 공유해 원활한 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최소의 시간으로 최상의 결과물을 도출하는 데에 최적화된 솔루션 도구다.
① 스프린트 이해하기
스프린트(Sprint)는 디자인 씽킹을 적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5일간의 집중 워크숍 프로세스를 일컫는 구글 벤처스(GV) 용어다.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100회 이상 시도하고 수정 및 보완한 후, 효과적이었던 단계들을 종합해 5일 프로그램으로 구성한 것이다. Agile/Lean Startup/Design Thinking 개념이 익숙하다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중요한 업무를 신속하게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과정을 단계별로 제시해 아이디어를 더 빨리 테스트하고, 더 나은 결과를 얻으려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데 마지막 단계에서는 사용자와 함께 아이디어를 테스트해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답을 찾게 된다.
스프린트의 가장 큰 장점은 제공자(클라이언트), PM,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 등 서비스(제품)를 제공하는 이해관계자들이 모두 한자리에 모여 저마다 자신에게 해당하는 부분을 해결하고 다른 사람들의 질문에 바로 피드백하는 시스템이다. 아이디어의 발견은 간단한 요점이나 상상력을 자극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개개인은 정해진 마감 시간 안에 중심이 되는 아이디어를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집중력은 향상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스프린트가 효과를 거두는 데 필요한 전제 조건이 몇 가지 있다. 첫째, 팀 구성원들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진행되는 전 일정에 참여해야 한다. 둘째, 프로세스는 참여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에 달려 있기 때문에, 전문가 중심으로 팀이 구성돼야 한다. 또한, 기존 워크숍과는 다른 스프린트만의 기준점이 있다. 팀원 수는 7명 이내의 소규모로 구성하고, 그 팀 안에는 프로젝트의 의사결정자가 꼭 포함돼야 하며 의사결정자는 워크샵 동안 최고의사결정권을 행사하게 한다. 셋째,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5일 동안 아침 10시에서 오후 5시까지 정해진 시간 내에 진행한다. 5일 동안의 일정은 아래와 같다.
② 디자인 스프린트(Design Sprint) 실행하기
②-① 월요일: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고 주요 타깃 선정하기
월요일 오전, 팀 오리엔테이션으로 스프린트를 시작한다. 우측 첫 번째 사진은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스프린트의 간단한 소개와 더불어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을 시작하는 상황이다. 먼저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문제에 집중하기 위한 장기 목표를 설정한다. 그리고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문제점이나 장애물을 실패요인 중심으로 나열한다. 마지막으로 장기 목표와 실패요인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성공 핵심질문을 정리한다. 오후, 서비스 여정맵을 진행한다. 추가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팀에서 설정한 목표와 핵심질문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한다. 전문가 인터뷰가 끝나면,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한 ‘어떻게 하면 ~할 수 있을까?(HMW*, How Might We)’ 아이디어 발상을 진행하며, 팀원들은 아이디어에 각자 투표를 진행한다. 금일의 마지막 과정은 핵심타깃 선정이다. 최종 의사결정권자 결정을 통해 5일 동안 해결해야 할 구체적인 타깃을 확정 지으며 마무리한다.
*1970년대에 프록터 앤드 갬블Procter&Gamble에서 개발, 디자인 회사인 IDEO기법 사용방법이다. 포스트잇에 네임펜으로 ‘어떻게 ~할 수 있을까?’로 시작하는 질문을 쓴다. Ex)어떻게 하면 커피가 신선하게 도착할 수 있을까?이 방법은 개방적이고 낙관적인 느낌의 문구로 작성돼 여러 기회와 과제들을 찾게 해준다.
②-② 화요일: 주어진 과제에 대한 해결책 찾기
월요일에 논의를 통해 큰 방향을 설정하고 집중해야 할 타깃을 설정했다면, 화요일은 해결책을 찾아 솔루션을 만드는 날이다. 오전, 서비스에 접목하거나 영감을 주는 타 분야 서비스 혹은 솔루션의 시각적 자료를 활용해 팀원들에게 소개한다.
오후, 구체화된 아이디어 스케치를 진행하며 개인적인 작업 집중 시간을 갖는다. 이때, 한눈에 쏙 들어오는 제목과 함께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친절한 글과 그림으로 솔루션을 스케치한 후 모두 모아놓는다. 금일 마지막 작업은 금요일에 진행될 사용자 인터뷰 참여자를 모집하는 것으로 마감한다.
②-③ 수요일: 중요한 결정 내리기
수요일은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날이다. 화요일 진행했던 스케치 중 높은 선호를 받은 테스크를 모아 스토리보드로 진행한다. 오전, 전날 모아놓은 스케치를 미술관의 작품 전시처럼 벽에 붙여 팀원들이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팀원 모두 흥미 있는 아이디어에 스티커를 붙이고 질문 및 우려 사항을 포스트잇에 작성해 해당 스케치 하단에 부착한다. 그 후 팀원이 모여 스티커가 많은 테스크에 대한 논의 후, 최종 결정은 최종의사결정권자가 내린다.
오후, 결정된 솔루션 스케치를 스토리보드로 작성한다. 스토리보드는 첫날 작성한 서비스 플로우를 바탕으로 최대한 상세히 작성해 다음 날 진행될 프로토타입과의 연결이 매끄럽도록 해야 한다. 금일의 마지막 작업은 역할 분담이다. 목요일 프로토타입 제작과 인터뷰 준비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역할 분담을 하는 것으로 마감한다.
②-④ 목요일: 프로토타입 만들기
목요일은 스프린트가 진행되는 5일 중 가장 바쁜 날이다. 오전, 앞서 결정된 전반적인 사항들을 리마인드 한 후 프로토타입 제작팀과 인터뷰 진행팀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프로토타입팀은 프로토타입 제작 담당자, 디자인 담당자, 화면 연결 담당자로 구성된다. 그다음, 프로젝트 목적에 따라 다양한 툴을 활용해 사용자가 조작할 화면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인터뷰 진행팀은 인터뷰 시나리오 작성 담당자, 인터뷰 진행 담당자로 구성되며 사용자에게 확인해야 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시나리오 작성 및 리허설 진행, 수정 보완을 반복한다. 일을 분담하면 전체적인 진행 상황을 파악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토타입 제작자와 시나리오 작성자는 진행상황에 대해 논의하며 작업물을 함께 만들어야 한다. 금일의 마지막 작업은 인터뷰 리허설에 모든 팀원이 참관해 피드백을 주는 것으로 마감한다.
②-⑤ 금요일: 사용자 반응을 토대로 앞으로의 방향 결정하기
마지막 날인 금요일은 팀에서 만든 서비스를 사용자가 조작하고 그에 대한 반응을 관찰하는 날이다. 인터뷰 룸에서는 인터뷰 진행자와 사용자가 1:1로 서비스를 조작하며 인터뷰를 진행한다. 다른 한쪽에서는 비디오를 통해 인터뷰의 긍정·부정 내용을 기록한다.
인터뷰는 5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왜 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걸까. 사용성 연구전문가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85%의 문제가 단 다섯 명을 인터뷰한 뒤에 발견됐고, 구글팀도 5명의 사용자 인터뷰로 큰 패턴을 찾을 수 있었다고 했기 때문. 사용자 인터뷰를 끝내고 다 같이 모여 3명 이상의 사용자가 보였던 패턴을 확인한다. 금일은 팀원 모두가 스프린트 워크샵을 통해 느낀 소감을 공유하는 것으로 마감한다.
③ UX 워크샵을 마치고
스프린트는 사람이 전부다. 중요한 과제와 뛰어난 팀으로 시작한다. 그 외에 달리 필요한 건 많지 않다
③-① 의미 있게 협업하는 방법
워크샵 참여자(팀원)들은 대부분 5일이라는 긴 시간에 대한 부담감을 갖고 워크샵에 참여한다. 하지만, 워크샵이 진행되면서 참여자들은 서로 다른 관점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려는 마인드를 기반으로 합의를 이루고 결과물을 도출한다. 각자의 역량을 활용하며 발생하는 시너지를 통해 말이다.
이처럼, 프로토타입 제작부터 사용자 인터뷰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함께 진행하고 합의점을 도출하다 보면 서로 비슷한 눈높이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 단계로의 이행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③-② 퍼실리테이터(진행자)의 역할
퍼실리테이터(진행자)는 ‘손석희님’의 역할이라 생각하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스프린트 관련 책에서는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을 중요하게 강조하고 있진 않다. 하지만 중요한 과제, 어려운 문제일수록 퍼실리테이터의 역량은 중요하다. 팀원 모두의 의견을 잘 정리하고, 워크샵이 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를 판단해 이끌 수 있어야 하기 때문. 퍼실리테이터의 역량이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하며 팀원들의 사기에도 큰 요소로 작용한다. 다음 회차에서는 실제 스프린트를 진행했던 유플리트 팀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퍼실리테이터 역할의 중요성을 들여다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