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과 중기부가 주목한 차세대 글로벌 스타트업들
‘창구 프로그램’에 선정돼 잠재력 인정받고 성장 중
바야흐로 스타트업 춘추전국시대다. 몇 년 사이 많은 산업 분야에서 신규 스타트업이 쏟아져 나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술력과 경쟁력, 해외진출 가능성을 모두 갖춘 스타트업이 더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사업들을 통해 돕고 있다.
지원 사업 중 ‘창구 프로그램’은 구글플레이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2019년 국내 앱·게임 개발사의 콘텐츠 고도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을 지원하기 위해 출범한 대표적인 상생 프로그램이다. 선발된 스타트업은 최대 3억원의 사업화 자금과 구글 성장 지원 패키지를 제공받는다.
선발 과정이 까다롭기로 유명해 최종 선발된 스타트업은 기술력과 시장경쟁력, 글로벌 진출 가능성까지 입증됐다는 평을 받는다. 실제로 창구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1~3기 200여 개의 개발사는 프로그램 참여 이후 연평균 매출이 85% 이상 늘어났고, 20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이끌어냈다.
지난 5월 창구 프로그램 4기가 새롭게 선정되면서 차세대 글로벌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최근 1~2년 내 창구 프로그램에 선정돼 잠재력을 인정받고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는 스타트업을 소개한다.
마인드로직, 수준 높은 기술력으로 소셜AI 메타버스 채팅 서비스 개발
창구 프로그램 4기에 선정된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마인드로직은 소셜AI 메타버스 채팅 서비스 ‘오픈타운’을 개발했다. 마인드로직은 AI챗봇이 사용자와 세션 평균 180회의 대화를 주고받는 성과를 선보이며 수준 높은 AI 대화엔진 기술력을 보였다. 이런 기술력으로 사용자의 말과 성격을 학습한 나만의 소셜AI가 자동 대화를 통해 더 많은 친구를 만들어주는 소셜 메타버스 플랫폼 오픈타운을 선보였다.
오픈타운은 ‘AI채팅 메타버스’ ‘AI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라는 신개념 서비스 모델로 주목받으며 공식 런칭 3개월만에 월간활성이용자수(MAU) 7만을 기록했다. 오픈타운은 이용자로부터 대화를 학습한 소셜AI로 고품질의 대화 데이터를 구축하고, 발화량에 비례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수익화 전환을 신청한 소셜AI 계정은 400개를 돌파했으며, 소셜AI 계정 생성 한 달만에 80만원 이상의 수익을 실현하는 사례도 나왔다.
오픈타운은 글로벌 진출에 대한 채비도 마쳤다. 2021년 여름 영어 AI 채팅 서비스 ‘루시(Lucy)’와 ‘루카스(Lucas)’ 페이스북 계정을 운영하며 1차 성능 검증을 진행했으며, 같은 해 10월 AI 튜터와의 1:1 무제한 영어 프리토킹 서비스 ‘딥러닝 잉글리시’를 출시했다. 오랜 기간 테스트를 거친 수준급의 영어대화엔진은 오는 하반기 출시될 예정이며, 일본어 등 다국어 서비스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스페이스오디티, K팝 팬덤 앱 ‘블립’으로 글로벌 팬심 사로잡다
음악 전문 스타트업 ‘스페이스오디티’가 운영하는 K팝 팬덤 앱 ‘내 손안의 덕메이트, 블립’은 2021년 창구 프로그램 3기에서 1위로 선정됐다.
블립은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최신 소식과 K팝 데이터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앱이다. 아티스트의 실시간 뉴스와 카테고리별 스케줄, 실시간 차트 순위, 뮤직비디오 조회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기존 팬덤 서비스와 달리 오로지 ‘팬’에 집중해 설계된 UX로 최적화한 정보를 자동 큐레이션해 보여준다.
올해 3월 기준 블립 이용자의 약 40%는 글로벌 이용자다. 여러 국가 팬의 요청으로 일본어와 영어를 지원하면서 글로벌 K팝 팬덤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실시간 레스토랑 예약 플랫폼 ‘캐치테이블’, 외식 문화 선도하며 고속성장
실시간 레스토랑 예약 플랫폼 ‘캐치테이블’은 2021 창구 프로그램 3기 TOP 6 기업으로 선정됐다. 캐치테이블은 인원과 테이블 위치, 메뉴 등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간단히 레스토랑을 예약할 수 있다. 국내에서 미쉐린 스타를 부여받은 고급 레스토랑을 비롯해 약 3000개(2022년 4월 기준) 식당이 캐치테이블 매장용 B2B 솔루션을 이용하고 있다.
더 나아가 캐치테이블은 외식업계의 고질적인 문제인 ‘노쇼(No-show, 고객이 예약한 후 아무 연락 없이 나타나지 않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캠페인과 예약금 문화를 정착시키는 등 외식 문화를 선도하고 있다.
캐치테이블은 차별화된 플랫폼과 높은 완성도로 지난 4월 월간활성이용자수 128만명을 돌파했다. 서비스 출시 첫해 기준 1만 건 수준이었던 예약완료는 올해 초 12만 건을 넘어섰다.
미술품 조각투자 플랫폼 ‘테사’, 누적 회원 10만명 돌파… 연내 해외 서비스 출시
창구 프로그램 4기에 선정된 미술품 조각투자 플랫폼 ‘테사’는 누구나 쉽게 모바일 앱을 통해 유명 작가들의 작품을 최소 1000원부터 투자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샤갈과 뱅크시 등의 작품을 조각 투자 형태로 잇달아 공개하며 이름을 알리고 있다.
테사는 지난 5월 기준 9개 미술품을 판매해 40억원의 수익을 올렸고, 수익금을 투자자들에게 나눠줬다. 평균 수익률은 22%에 이른다. 누적 회원 수는 10만명을 돌파했으며, 미술품 누적 판매 총액은 281억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테사는 올해 내로 홍콩과 싱가포르 등에 해외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세계적인 미술품 경매회사 ‘소더비(Sotheby’s)’ 출신의 잭 쇼(Jack Shaw) 글로벌사업개발본부장을 영입하기도 했다.
에이블게임즈의 모바일 게임 ‘달토끼 키우기’, 170여 개국에 서비스 시작
에이블게임즈가 개발한 모바일 게임 ‘달토끼 키우기’는 창구 프로그램 4기에서 6위로 선정됐다.
달토끼 키우기는 국내 전래동화에 등장하는 달토끼를 주인공으로 한 방치형 모바일 RPG다. 2021년 6월 출시 이후 게임 매출 순위 35위, 시뮬레이션 장르 매출 1위를 기록하는 등 승승장구하고 있다.
달토끼 키우기는 미국, 캐나다를 포함한 북아메리카 지역과 유럽, 오세아니아 등 총 46개국에 출시하며 세계 170여 개국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지난 5월에는 글로벌 태국 시뮬레이션 장르 최고 매출 1위, 베트남 시뮬레이션 장르 최고 매출 5위를 달성하며 글로벌 게임으로 발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