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상용화’ 선언한 네이버, 검색·지도·광고 ‘대변신’
11일 ‘DAN 24’ 개최… 하이퍼클로바X 고도화 및 AI 생태계 1조원 투자 발표
네이버가 본격적인 ‘생성형 인공지능(AI) 상용화’ 단계로 접어든다. 자사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검색, 지도,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접목한다는 구상이다.
네이버가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통합 컨퍼런스 ‘단 24(DAN 24)’를 개최, 자사 AI 전략을 공개했다.
이날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지난해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한 이후 사용자, 판매자, 비즈니스 파트너 등을 위한 수십 건의 생성형 AI 프로덕트를 테스트한 결과 상용화 단계로 들어섰다”며 “하이퍼클로바X와 트윈XR 등 AI 원천 기술을 수천만 사용자가 이용하는 핵심 서비스에 접목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네이버는 검색 서비스에 ‘AI 브리핑’ 기능을 새롭게 도입한다. AI 브리핑은 검색 결과를 종합적으로 추론해 답변을 제공하며, 특히 정답뿐 아니라 다양한 출처를 보여주는 데 중점을 둔다. 롱테일 키워드와 외국어 키워드에 대해 우선 적용된다. 내년 상반기 출시 예정이다.
지도 서비스는 공간 AI 기술을 접목해 혁신을 추진한다. 네이버는 기존 길 안내 기능을 넘어 오프라인 정보를 3차원으로 구현하는 ‘거리뷰3D’를 선보인다. AR 내비게이션, 실내지도, VR 실내투어 등을 통해 오프라인 공간을 온라인에서 생생하게 재현할 수 있게 된다.
광고 플랫폼 역시 AI 기술로 고도화된다. 새로운 광고 특화 AI 플랫폼 ‘ADVoost’는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용자 타기팅을 통해 광고 성과를 높인다. 네이버는 ADVoost를 홈피드에 시범 적용한 결과 클릭률(CTR) 약 40% 증가, 광고 비용(CPC) 28% 절감 등 광고 효율이 총 30% 이상 향상됐다고 밝혔다.
또 초개인화된 AI 쇼핑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네이버 앱과 별개로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모바일 앱을 출시할 계획이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의 경우 사용자 혜택을 늘리고, 배송 포트폴리오도 ‘지금배송’ ‘새벽배송’ 등으로 확장한다.
아울러 네이버는 국내 AI 생태계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임팩트펀드’를 신설하고 6년간 1조원 규모로 조성한다. 이를 통해 테크, 비즈니스, 커뮤니티 분야에서 임팩트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네이버 커넥트재단은 향후 5년간 600억원을 투자해 AI 교육 커리큘럼 확대와 인재 육성에 나선다.
최수연 대표는 “네이버가 원천 기술인 검색에 지속 투자하며 국내 시장을 지켜왔듯, 국내 AI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매출 20~25% 규모의 R&D 투자를 통한 기술 개발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