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구현은 나중에? 네이버 치지직, 반쪽짜리 출시에 아쉬움 남아
9일 정식 출시됐지만 기능 추가는 뒷전… 스트리밍 시청 환경도 악화
약 4개월의 베타 기간 동안 점검을 마친 네이버가 게임 스트리밍 특화 플랫폼 ‘치지직’을 정식으로 출시했다. 하지만 정식임에도 불구하고도 여러 기능이 미비해 사용자의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해 12월 베타서비스로 선보인 치지직은 약 4개월간 베타 테스트를 이어왔다. 그동안 치지직은 트위치 구독 기간 합산 및 태그 기능, 신입 스트리머 소개 코너 추가, 운영 정책 개선 등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서비스에 구현했다. 또 이번 출시와 함께 ‘미션 후원’ ‘치지직 클립’을 오픈했다.
하지만 정식 출시를 진행했음에도 여러 기능과 쾌적한 환경 조성이 미비하다는 사용자 의견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게임 스트리밍 특화 플랫폼을 자처한 치지직에 필수적인 ‘드롭스 기능’도 정식 출시에 포함되지 않았다. 업계에 따르면 치지직 드롭스 기능은 여름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드롭스 기능은 게임사와 연계해 시청자들에게 게임 아이템 및 혜택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스트리머 지원 장점으로 내세웠던 치지직 스트리머 숏폼 콘텐츠의 네이버앱 추천 영역 노출 역시 구체적인 일정이 잡히지 않은 상태다. 네이버가 야심차게 홍보했던 AI 보이스 기술을 접목한 스트리머 보이스 후원 기능도 오는 3분기로 적용이 연기됐다.
타 서비스 연계 및 기술 고도화 등을 지속 추진해 차별화된 스트리밍 경험을 느낄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 역시 요원하다. 많은 사용자가 입을 모아 요구 중인 TV앱 출시는 제대로 된 언급조차 나오지 않고 있다.
더불어, 최근 치지직은 시청 지연 등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그리드 시스템을 적용했지만, 오히려 PC 및 모바일 모두 버퍼링과 렉이 늘어나는 등 서비스 안정성 역시 불안정한 상태다. 특히 모바일 앱의 경우 현재 높은 버퍼링으로 정상 시청이 불가능하다고 호소하는 사용자가 많다.
현재 치지직 앱은 구글플레이에서 5점 만점 기준 2.3점을 기록 중이다. 현재 300여 명의 공감을 받은 한 리뷰는 “와이파이 연결 시 시청이 불가능할 정도로 버퍼링이 심하다”며 “버퍼링 개선도 안 하면서 앱 맨 위에 배너 광고까지 넣었다”는 내용을 통해 치지직의 느린 개선 속도와 수익화 움직임을 꼬집었다.
이에 네이버는 한동안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은 물론 스트리밍의 재미 요소를 높이는 데 집중한다는 입장이다. 김정미 네이버 치지직 리더는 “앞으로도 다양한 연계와 다채로운 기능 오픈 등을 통해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