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타입(Prototype) 이야기
– 서비스 출시 전 서비스 콘셉트와 방향성 검증 목적
– 비표준화 서비스 영역, 프로토타입 진행이 장기적으로 효율적
프로토타입. 서비스를 출시하기에 앞서 여러 시험대에서 검증을 거치는 단계다. 프로토타입은 서비스의 정체성을 확인하기도 하지만 실제 서비스했을 경우를 가정하기 때문에 여러모로 유용하다. 프로토타입 제작 이유를 명확히 이해하고 집행했을 때 실제 서비스의 성공률은 더 높아지지 않을까?
와이어프레임이 추상적인 면을 구체화해 이것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가늠하고 협의하는 툴(Tool)이라면(와이어프레임, 동상이몽을 해결하거나 좁히거나!) 프로토타입은 실제 서비스 출시 전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서비스의 전체적인 느낌을 알기 위해 만드는 일종의 시제품이다.
프로토타입은 전체 프로세스의 모든 화면에 디자인 파일이 있다. 세부적인 버튼과 링크가 모두 실제 작동에 가까운 수준까지 만들기도 하고, 이미지 파일 하나에 해당 페이지 콘텐츠와 디자인 적인 느낌만 알 수 있게 담는다. 경우에 따라 실제 버튼과 링크는 작동하지 않는 간단한 형태까지 해당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더 간단하게는 파워포인트로 필요한 화면만 만들거나 이 화면들을 사용 순서에 따라 화면이 작동하는 것처럼 순서대로 종이를 배치할 수 있다.
쇼핑몰 상품 페이지에서 티셔츠를 구매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상품 페이지에서 색상과 사이즈를 선택하고 ‘장바구니’에 담아 ‘쿠폰 적용’을 하고 ‘카드결제’를 한다. 이후 ‘마이페이지’에서 ‘주문 상세내역’과 ‘배송현황’을 확인하는 것까지를 전체 프로세스로 보자. 이 과정 전체를 프로토타입으로 집행하거나 혹은 일부 개선만 필요할 과정, 즉 배송정보를 넣고 결제수단을 선택하는 주문하기 페이지만 잘라서 프로토타입을 만들 수 있다.
주문서 페이지의 경우 실제 주문자와 배송정보의 빈 칸을 직접 모두 입력하고 카드나 쿠폰 등 결제수단을 선택해 결제가 이뤄지는 과정과 유사하게 프로토타입을 만들 수도 있다. 그런가 하면 주문하기 페이지의 전체적인 느낌만 보거나 기능적으로 필요한 것이 누락돼 있는지 등 이상 유무만 살펴 간소화해 만들 수 있다.
이처럼 프로토타입은 실제 웹페이지나 서비스를 개발하기 전에 서비스 콘셉트와 방향성이 맞는지 또는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있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어려움이 있는지 등 본격적인 물적, 시간적 자원을 투입하기 전 이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목적과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만들면 된다. 굳이 정해진 규칙에 얽매이거나 실제 서비스와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아울러 모든 페이지와 서비스에 대해 프로토타입을 만들 필요도 없다.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것 자체도 그만큼 공수를 투입해야 하는 일이고 이를 통해 내부 검토뿐 아니라 고객 테스트까지 진행한다면 굉장히 자원이 많이 들여야 하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로그인’ 항목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만 누르면 된다. 따라서 특별히 예외적인 상황이나 복잡성, 다양성 없이 기본에 충실하게 서비스만 제공하면 된다. 하지만 쇼핑몰의 주문 페이지는 각종 입력사항이 많고 결제 방법이나 설정, 할인 쿠폰 적용 등 복잡도가 높고 다양한 사례가 나올 수 있어 간결한 형태의 표준화된 서비스라고 보기 어렵다.
두 예시처럼 일정 수준의 표준화된 영역은 굳이 프로토타입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 다만, 반드시 기능적으로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복잡성이 높은 서비스 영역은 가급적 프로토타입으로 서비스를 점검하고 확인하는 것이 좋다.
프로토타입을 통해 미리 문제점을 찾아내고 개선과 수정을 거쳐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면 그 프로토타입은 성공이다. 그리고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선제적인 조치가 잘 취해진다면 고객 불편함도 미연에 방지하고 추후 디자인과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 줄이고 그에 따른 자원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아이디어 수준에서는 잘 모르고 진행하다가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고객 조사나 내부 논의 중 고객 사용성이 어렵거나 비즈니스 목표와 맞지 않는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런 경우 해당 서비스 출시를 미루거나 취소하기도 한다. 디자인과 개발까지 완료하고 좋지 않은 고객경험을 제공한 뒤 그 후폭풍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면 차라리 서비스 중단이 여러 면에어 더 현명한 선택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영역의 비표준화된 서비스 영역은 프로토타입을 통해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멀리 보면 더욱 효율적인 방식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