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존클라우드, ‘146조원 스마트빌딩 시장’ 디지털전환 정조준
27~29일 산업지능화 컨퍼런스서 스마트빌딩 솔루션 소개
클라우드 선도 기업 메가존클라우드가 1089억 달러(약 146조원)가 넘는 글로벌 스마트빌딩 시장의 디지털전환을 정조준하고 나섰다.
김영상 메가존클라우드 부사장은 지난달 27~29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서 진행된 ‘산업지능화 컨퍼런스’에 연사로 나서 메가존클라우드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스페이스 솔루션’을 소개했다.
스마트스페이스 솔루션은 각종 스마트빌딩 솔루션을 연계해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디지털 트윈 기반 통합운영관리 플랫폼과 인공지능(AI) 어시스턴트를 활용해 별도 UI를 개발하지 않고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거래처 등 외부 인사가 회사를 방문할 경우 AI 어시스턴트 봇을 통해 대표 방문자의 전화번호만 입력하면 방문자에 대한 사전 연락, 동행자 정보 등록, 차량 이용 안내 등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해당 솔루션은 현재 메가존클라우드 과천R&D 센터, 잠실종합운동장복합개발(MICE) 등에 적용됐다.
김 부사장은 “스마트빌딩 시장은 2020년 662억8300만 달러에서 2024년 1089억5400만 달러로 연평균 10.5%의 가파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며 “디지털 혁신 기술 융합으로 건물관리를 디지털화하는 스마트빌딩 솔루션을 통해 전력, 조명, 냉난방, 출입, CCTV 등 업무공간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메가존클라우드의 스마트스페이스는 수동 관리되는 구형 빌딩 관리 시스템에도 IoT 기술을 적용해 자동화할 수 있는 만큼 신축 스마트 빌딩 관리뿐 아니라 다양한 레벨의 빌딩 관리 시스템이 혼재돼 있는 복합타운도 유력한 시장”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메가존클라우드 및 메가존 관계사는 2700여명의 클라우드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국내 클라우드 MSP업계 최초의 유니콘 기업에 등극했으며, 2022년 1조4000억원 가까운 매출을 달성했다. 국내와 더불어 미국, 일본, 캐나다, 호주, 중국 상해·북경, 베트남, 홍콩, 싱가포르 등 해외 8개국에서 현지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